[기자수첩]학생·교사·학부모·대학 사이의 찬반 논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013학년도 대입에서 수시모집 지원횟수를 5회로 제안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현장에선 학생·교사·학부모·대학 사이의 찬반 논란이 거세다.

대교협은 지난달 26일 현행 수시모집 무제한 지원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수시 지원 5회 제한을 골자로 하는 ‘2013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 시안’을 발표했다.

고교 교사들은 이 같은 방침에 전반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이다. 서울의 한 고교 3학년 부장 오모 교사는 “수시모집 지원횟수를 제한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며 “지원횟수 제한에 전적으로 찬성한다”고 말했다.

교사들이 수시모집 지원횟수 제한에 찬성하는 이유는 학생들의 ‘마구잡이식’ 지원 때문이다. 대입 실패에 대한 불안감에 조금이라도 합격 가능성이 보이면 원서를 써달라고 하는데 교사 입장에서는 안 써줄 수도 없다고 토로한다.

교과부에 따르면, 지난 2010학년도 수험생들의 대입 수시 평균 지원횟수는 4.02회였지만, 최다 지원은 61회나 됐다. 교육현장에선 “거의 로또처럼 ‘하나만 걸려라’는 식으로 마구잡이로 지원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수시 무제한 지원이 교육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나온다. 적성이나 진로를 고려해 지원해야 하는 대학입학이 ‘묻지마 지원’으로 변질됐다는 비판인 것이다.

수시모집에 60회나 지원하려면 회당 7~8만원에 이르는 전형료를 400만원 넘게 내야 한다. 한 고교 교사는 “경제적 사정에 따라 수시를 많이 지원할 수 있는 학생이 유리하다”고 지적한다. 빈부격차가 수시 지원의 횟수를 결정, 형평성의 원칙에 어긋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물론 지원횟수 제한에 따른 부작용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지난달 대교협 공청회에서 박흥수 한국외대 입학처장은 “지원횟수 제한이 자칫 수험생의 수도권 집중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며 지방대가 입을 타격을 우려했다.

그러나 이런 우려는 수도권 정원 외 모집을 금지시키는 등 다른 대책으로 보완하면 될 것이다. 더 이상 교육적이지 않은 수시 무제한 지원을 그대로 끌고 가기에는 우리 교육현장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