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등록금 실현 가능 대선 후보 1위…대선 나오면 "지지하겠다" 57.8%

안철수 서울대 융합기술과학대학원장이 대선에 출마하면 대학생 투표율을 얼마나 끌어올릴 수 있을까. 안 원장이 출마하면 대학생 10명 중 9명꼴로 투표장에 나가겠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안철수 출마와 상관없이 투표장에 나가겠다’는 대학생 61.1%와 ‘출마만 하면 기꺼이 투표장에 가겠다’는 대학생 33.5%를 합하면 94.6%에 달하는 수치다.

반값등록금을 실현시켜 줄 대선 후보 1순위에도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안철수 원장이 지목됐다.

'안철수 원장이 대선에 출마한다면 "지지하겠다"는 대학생은 57.8%로 절반을 넘어섰으며 "아직은 잘 모르겠다"는 반응은 19.5%였다.

한국대학신문(발행인 박성태)과 대학생활포털 캠퍼스라이프(대표 홍남석)가 지난 추석 연휴 기간인 9월 9일부터 15일까지 대학생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 안철수 원장 대선 출마시 투표 참여할 것인가?
안철수 '서울대 융합기술과학대학원장의 출마여부가 자신의 대선 투표 참여에 영향을 미칠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33.5%가 '안철수 원장이 출마하면 기꺼이 투표장에 가겠다'고 답했다. '안철수 원장의 출마와 상관없이 투표장에 가겠다'는 응답은 61.1%로 결과적으로 94.6%의 응답자가 내년 대선 투표권 행사 의지를 보였다. 안 원장의 대선 출마가 이뤄지면 매번 선거때마다 투표율이 크게 저조했던 대학생들을 자발적으로 투표장에 이끌어내는 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식 집계 결과 2007년 17대 대선에서 20대 전반의 투표율이 51.1%, 20대 후반이 42.9%를 기록했고 2002년 16대 대선 당시에는 20대 전반이 57.9%, 20대 후반이 55.2%였다. 선관위는 특히 20대 전반의 상대적으로 높은 투표율을 군복무자의 부재자 투표율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이같은 결과를 감안하면 안 원장의 출마가 가져올 순수 대학생 투표율 증가가 대선에서 20대 투표율을 끌어올리면서 대학생들의 정치적 관심을 고조시킬 것으로 보인다.

한편 '투표하지 않겠다'는 반응은 1.1%, '잘 모르겠다'는 3.8%로 극소수에 그쳤다.

‘안철수 신드롬’은 대선에 출마하면 지지하겠다는 응답자들이 절반을 크게 웃돌면서 대권 후보 지지율로 이어졌다.

'안철수 원장이 만약 대권 후보로 출마한다면 지지하겠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57.8%가 '지지하겠다'고 답했다. '지지하지 않겠다'는 반응은 22.2%,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19.5%로 집계됐다.

응답자 10명 중 8명꼴로 안철수 원장과 박원순 변호사의 후보 단일화가 향후 선거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관련 안철수 원장과 박원순 변호사의 후보 단일화가 향후 선거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81.6%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한 반면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반응은 7.6%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10.8% 였다.

올 상반기 연일 촛불집회에 불을 지폈던 ‘반값등록금’, 이를 현실화시킬 대선 후보 1위에도 안철수 원장이 꼽혔다. '반값등록금 실현을 위해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대선 후보로는 누가 적합한지' 묻는 질문에 절반에 가까운 48.7%의 응답자가 '안철수' 원장을 지목했다.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가 8.1%,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7.6%,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6.5%의 순이었으며 손학규 민주당 대표,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은 각각 4.3%와 2.7%에 그쳤다.

▲ 반값등록금 실현할 수 있는 대선 후보는 누구?

한편,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관련 정치판에 폭풍을 몰고왔던 ‘안철수 신드롬’에 대해 응답자 81.6%가 '구태의연한 정치권에 대한 반감표출'로 해석했고 응답자 96.8%는 '이같은 새로운 인물의 출현을 갈구하는 현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응답자 73.5%는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물론 내년 총선과 대선에도 계속 영향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일시적인 현상일뿐 거품이 가라앉으면 큰 영향력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은 35.7%에 그쳤다.

윤지은·이의경 기자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