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내모집 전환ㆍ외국인학생 유치 바람직

입학자원 급감에 따라 당장 정원외모집이 대학들의 화두로 떠올랐다. 그렇지 않아도 대학에 입학할 학생이 부족한데 굳이 정원외모집을 시행할 이유가 없다는 문제 제기다. 그러나 사회적 소외계층을 위한 ‘희망의 사다리’라는 성격상 폐지해서는 안 된다는 반대도 만만찮다.

정원외모집의 개선 여부에 대해서는 수도권과 지방대 또는 대학과 고교, 정부간 시각차가 확연히 엇갈린다. 지방대는 학생들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정원외모집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정원외모집만 폐지해도 입학정원 2000명 규모의 지방대 8~9개는 살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반면 수혜를 누리는 편인 수도권 대학은 반대 입장이고, 고교·정부도 정원외모집을 없애면 빈부 격차에 따른 명문대 진학 현상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한다.­ ­­

정원외모집 폐지와 정원내모집으로의 전환이 어렵다면 수도권과 지방대간 정원외모집 비중의 차등적용 등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황규홍 입학관련처장협의회장은 “지방불균형이 심해지고 있는데 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정원외모집 폐지가 힘들다면 수도권 대학은 정원외모집 비율을 절반 정도로 제한하는 조치를 검토하자”고 제안했다.

입학자원 자체가 줄어드는 만큼 단계적으로 규모를 축소해나가는 차선책도 있다. 이에 대해 충청 지역 대학 입학처장은 “현행 정원외모집을 수정·보완해 인원을 조정하고 지원자격을 강화하는 방법이 있다. 수도권과 지방대 균형을 맞추는 차원에서 수도권 대학들도 정원 자체를 축소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정원외모집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바꾸는 인식 전환도 요구된다. 외국인 학생 역시 정원외모집으로 유치할 수 있는 점을 십분 활용해 입학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원외모집을 수도권과 지방대 간 대립구도로만 볼 게 아니라 학생 유치의 전략적 틀로 이용하는 방안을 고민할 시점이라는 얘기다.

[클릭]정원외모집 = 대학 정원과 별도로 모집할 수 있는 입학전형. 소외계층을 배려하는 취지로 현행법 상 대학들은 농어촌·전문계고·사회적배려대상자 특별전형 등의 정원외모집으로 정원의 11%까지 선발할 수 있다. 단 지난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전문계고 특별전형의 정원을 5%에서 3%로 줄이는 내용을 입법예고함에 따라 2012학년도 전형에서는 9% 모집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