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연세대·GIST 연구과제에 5년간 25억 지원

기업·연구소와 공동 설립···‘데스 밸리’ 뛰어 넘는다
기술가치·시장성 고려해 선정, 시제품·상용화 지원

정부 지원을 받아 대학·연구소·기업이 공동 출자하는 산·학·연 공동연구법인 사업에 연세대와 광주과기원(GIST)이 선정됐다.

9일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김대원 연세대 교수의 ‘퇴행성 관절염 예병과 치료기술’ 개발 △김민곤 광주과기원 교수의 ‘신체변화 고감도 바이오센서 기술’ 개발이다.

이번 사업은 대학이 개발한 기술이 사업화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단계인 ‘데스 밸리(valley of death·죽음의 계곡)’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됐다. 대학은 초기 연구에 투자를 많이 하는 데 반해 산업계는 제품개발·상용화에 투자를 집중한다. 때문에 대학·연구소가 개발한 기술이 사업화되는 전(前)단계에서 ‘데스 밸리’가 발생, 사장되는 기술이 많다.

공동법인은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대학이 연간 수백억 원에 달하는 연구개발비를 투자해도 상용화되는 기술이 별로 없다는 점에서 착안됐다. 대학이 만약 기술 사업화의 성공확률을 높인다면, 산학협력단 수익은 수직 상승할 수 있다. 대학의 수입원을 다양화해 등록금 의존율을 낮추는데도 도움이 된다. 또 거액의 연구비가 낭비되는 요소를 줄일 수 있다.

기업은 기업 나름대로 차세대 먹을거리 개발이 절실하다.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 따르면, 차세대 주력제품의 필요성을 절감함에도 이를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기업은 6.8%에 불과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2010년 3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51.1%가 3년 이후의 미래 수익원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부는 이런 문제점을 해소할 묘안으로 공동 연구법인을 추진했다. 지난해 말 사업신청을 받은 결과 28개 대학 42개 과제가 응모됐다. 당초 많아야 20개 과제가 정도가 응모될 것이란 예측과 달리, 예상보다 2배 많은 과제가 접수된 것이다.

교과부는 이 가운데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2개 과제를 선정했다. 지역대학과 류민수 사무관은 “응모된 과제 중에서 사업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과제를 선정했다”며 “지원기간, 즉 사업기간(5년) 내에 시제품 생산과 사업화까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정된 과제는 기업·연구소와 공동 출자해 연구법인을 설립해야 한다. 류 사무관은 “두 과제 모두 오는 7월 연구법인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사업비 지원은 법인 설립이 확인돼야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세대 김대원 교수가 제안한 ‘퇴행성 관절염 예방과 치료기술 개발’ 과제는 시장규모가 약 60조원에 이르는 세계 관절염시장을 공략한다. 기존의 관절염 치료가 염증 유발요인을 원천적으로 치료하지 못하고, 염증제어나 통증완화 기능에 그쳤던 한계를 넘어서는 게 목표다.

김 교수팀은 한미약품과 함께 오는 7월 연구법인을 공동 출자해 설립한다. 퇴행성 관절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향후 5년 내에 관절염 치료제를 개발하고 관련 임상실험까지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광주과기원 김민곤 교수팀은 ‘신체변화 고감도 바이오센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의료현장에서 신속하게 환자의 질병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소형 측정기를 개발, 사업화 할 예정이다.

현재 세계 바이오센서 시장규모는 약 5조원에 달한다. 김 교수팀은 건강관리 장비 생산업체인 ‘인포피아’와 손을 잡고, 연구법인을 설립한다. 연구소 쪽에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법인 설립에 참여한다. 오는 7월까지 법인을 설립하고, 향후 5년 내 진단센서 시제품을 개발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