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학생, 논문표절·강사 강제해고 등 시정 촉구

‘수강인원 줄이기’ 5024명 서명 받아 본부에 전달

▲ 전국대학강사노조 국민대 분회와 학생들은 22일 교내 북악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측이 행한 5대 악행을 발표, 즉각 시정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대학신문 홍여진 기자] 문대성·염동열 등 국회의원 박사학위 논문표절 문제로 곤혹을 치른 국민대가 교육의 질 문제로 또 다시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수강인원이 넘쳐나 콩나물 교실이라 불리는 대형강의와 열악한 시간강사 처우 문제 등에 대해 이 대학 강사와 학생들이 재차 문제제기를 하고 나선 것이다.  

전국대학강사노조 국민대 분회와 학생들은 22일 교내 북악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설 단과대학 KIS의 경영대 강제 편입 △시간강사 2년 뒤 강제해고 △박사학위 논문 남발 △수강인원 줄이기 서명인 4100명 명부 무시 △교내 게시물 사전 검열제 등 대학측의 5대 악행을 발표하고 이를 즉각 시정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대학이 2010년에 신설한 단과대학 ‘KIS(KMU International School)’를 학과 학생들과 사전에 협의도 하지 않고 2012년에 경영대학에 강제 편입시키려 한다”며 “대학 안내서와 전형에 적힌 약속을 믿고 입학한 60여명 ‘KIS' 학우들에게 타대 편입을 강요하는 것은 최소 약속과 도리를 저버린 몰염치한 학사행정이다.  특히‘KIS’개설 당시 정식 전임교수가 한 명도 없었고 지금 2012년에 겨우 한 명에 불과하다”고 교육의 질 문제를 지적했다.

학생들의 수업을 책임지는 시간강사에 대한 학교측의 태도도 문제로 꼽혔다. 노조는 “대학은 비용 절감이란 명목으로 강사들에게 4개월짜리 계약서와 2년 근무 뒤 강제 해고제를 강요한 후 거부하면 해고 협박했다”며 “이는 강사의 기본권과 생존권을 해치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국민대 강사료는 1993년에 3만 5천원에서 2012년 현재 4만원(교과부 가이드라인 6만원)으로 20년간 단도 만 원도 오르지 않은 실로 놀라운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최근 연이어 불거진 문대성·염동열 의원의 논문표절 문제도 지적했다. 이들은 “학교가 기본 소양은 물론 도덕성이 심각하게 결여된 정치인들에게 엉터리 박사학위 논문을 남발했다”면서 “학문이 아니라 타협과 거래로써 학교를 운영했다. 표절논문을 즉각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또 이들은 "학교 측은 수년간 교내 게시물 사전 검열제를 고수하는 것은 물론 최근에는 전체 메일발송 서비스에도 검열제를 도입해 강사노조가 전 성원에게 활동상황을 알릴 길을 막고 있다”며 “이는 지난날 독재 권력이 행한 비열한 통제행위”라고 꼬집었다.

▲ 국민대 강사노조와 학생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난 5월 말부터 ‘수강인원 줄이기 ’서명운동을 벌여 재학생 5024명의 서명을 받아 본부측에 22일 전달했다. 서명인부를 총장에게 전달하려하자 경비직원들이 총장실 앞을 막아섰으며, 총장의 부재로 교무처장이 대신 서명인부를 받았다.
강사노조가 지난해 펼친 ‘수강인원 줄이기 서명운동’ 을 통해 전달한 ‘4100명 서명인 명부’를 대학측에서 묵묵부답으로 대응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노조는 “국민대는 한 강의실에 250명 이상의 학생이 들어가는 전공수업이 있을 정도로 대형강의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러한 콩나물 교실을 해소해 달라고 서명을 받아 전달했는데, 전현임 총장들은 이를 철저히 무시해 왔다. 수년간 등록금을 올려 조성한 적립금 1200억원을 콩나물 교실 해소에 사용하라”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 국민대 강사노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차 수강인원 줄이기 서명운동을 벌여 총 5024명의 서명을 받았다. 이날 서명인부를 대학측에 전달하고 5대 악행에 대한 개선을 요구했다. 서명인부를 받은 조영석 교무처장은 “대학에서도 수강인원을 줄이려고 노력 중이나 재정여건 상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당장은 아니더라도 차츰 줄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시간강사 문제와 관련해선 “시간강사 2년 근무 뒤 강제해고는 해고가 아니라 강사에게 무급 안식년을 준다는 의미로 봐야한다. 강사도 공부와 연구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2년 뒤 휴식기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행을 바꿀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