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 윤호섭 시각디자인학과 명예교수

▲윤호섭 교수
“햇빛도시” 서울, 시민이 자발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시민이 참여하여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면 원전하나가 생산하는 만큼 에너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원전 하나 줄이기’ 운동 포스터에 들어간 문안, 이 글에 포스터 그림을 넣을 수 없다 하여 문안만 소개한다. (이미지 확인: www.greencanvas.com) 서울시의 급박한 에너지대책 전해 듣고 환경부문 실무자 만나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 설명듣고 유례없는 집중과정을 거쳐 상징 이미지를 만들었다.

지난 해 말 후쿠시마 핵발전소 재앙이후 벼르던 태양광판, Sola Panel을 작업실 지붕에 얹고 생산량이 사용량보다 많아 포인트로 누적되어 계량기 들여다보며 기뻐했는데 국가 전체적으로 전기 생산량이 사용량보다 적어 블랙다운이 되는 에너지 대란이 예상된다는 소식에 막중한 부담을 안고 작업에 임했다.

구체적인 에너지 정책, 현재 상황에 대해 전문적인 차원에서 알지 못하지만 햇빛전기 등 대체에너지와 절약만을 대안으로 생각해 왔고, 전기료가 다른 나라에 비해 너무 저렴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수요를 따라가는 전기생산설비 확충에 의문을 가졌었기에 우리가 너무 생각이 모자라지 않았나 되돌아보게 되었다.

반핵, 탈핵에 관련된 이해 높이기 위한 자리 마련해 현재 어떤 상황인지 알아보고 내가 사용하고 있는 전기가 누가 어떻게 만들어 어떤 값에 나에게 흘러오는지 알아보는 노력이 요구된다. 누구를 탓하기 전에 나는 어떤 입장인가, 내 할 일은 무엇인가 생각할 때다.

핵 발전 전기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핵 문제는 아주 기이한 주제다. 절대로 위험하기에 핵발전소는 더 이상 가동되어서는 안 되며 대대손손 각종 핵폐기물과 발전소에 대한 무한책임을 떠넘기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핵발전 밖에 다른 대안이 없으며 철저하게 대처하면 된다는 관계자들의 일관된 주장과 스리마일(TMI), 체르노빌, 후쿠시마로 이어지는 핵발전소 사고의 재앙을 보면서 인간이 하는 일에 어떻게 완전을 장담할 수 있는가하는 의견이 첨예하게 맞부딪치고 있는 상황이다. 핵 발전이 현실대안이고 안전하다고 주장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의 이야기를 들어볼 필요가 있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전기의 30%이상이 핵 발전 전기여서 진정한 이해가 요구된다.

탈핵을 주장하려면 공부를 해야 하고 당연시 되고 있는 대량소비문화의 가속을 주목하며 ‘근검절약’을 근본적인 시대정신의 주제로 받아들여야 한다. 끝없이 만들어져 우리에게 소구돼 오는 상품에 매력을 느껴 구입해서 사용하다 버리면 소각되거나 매립되어 공기와 물, 흙을 훼손하는 원인이 된다. 나눔장터, 벼룩시장에 내놓아 필요한 사람들이 기부금내고 구입하여 재사용하는 것은 그 의미가 크지만 과용의 업보, 뒤치다꺼리다. 자원개발, 운반, 가공, 생산, 유통, 판매, 사용, 폐기의 전 과정에서 에너지가 들어가기에 불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는 것 자체가 핵발전소 신규건설과 지속적인 가동에 일역을 담당하는 원인이 되는 인과응보가 된다.

한 사람 한 사람 시민 스스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되돌아보는 일이 절실하다.
과잉소비에 대한 자성과 근본적인 대안을 찾는 사려 깊은 녹색의지가 태동하여 탈핵의 큰 외침으로 커져야 한다. 전기 절약하는 일에 눈 돌려 에너지 대란을 극복하는 것이 시급한 현안이겠지만 우리의 의식주 모든 씀씀이를 되돌아보고 현재 어디에 와 있는지 좌표 내려다 볼 수 있는 나침판을 여기저기에 대어 보는 일도 동시에 시작해야 한다.

▲ 햇빛천사 동글이
디자인이 이런 상황에서 할 일이 무엇인지 여러분들과 위기를 공감하고 함께 대안을 찾으려 한다. 전기사용이 많고 24시간 계속되는 에너지 소모원을 줄이고 작은 것부터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디자인을 생각해 본다. 여름철 전력수요 피크타임이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라고 하는데 우선 그 시간 동안 불요불급의 전력소비가 많은 냉방기 등 전기용품 사용 자제를 유도 할 수 있는 일발필중의 상징 설득이미지를 만들어 시민들의 행동을 이끌어내려 한다.

앞으로 이곳저곳에서 만나는 여러분들과 함께 생각해서 좋은 디자인을 만드는 일에 집중하려고 한다. 그 교실 이름을 ‘햇빛천사 동글이와 함께하는 창의디자인교실’로 정하고 멋진 ‘전기절약 상징물’을 찾아내려 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