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가 차별받고 있다는 현실을 정부가 건국이래 처음 공식 인정한 셈이 아닙니까" 지난 1일 교육부의 '지방대 육성책' 발표이후 소감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경북대의 한 교수가 답한 말이다.

그도 그럴것이 이 교수는 IMF이후 사시사철 제자들을 한 명이라도 더 취업시키기 위해 동문과 졸업생이 있는 곳이라면 전국 방방곡곡 어디든지 달려가매달렸 다고 한다.

진주의 경남일보, 대전의 중도일보와 대전매일, 대구의 영남일보 등 지방의 4개 일간지가 지난 2일자 신문에 이 소식을 1면 머리에 올릴 정도로 지역의 관심도뜨거웠다.

교육부의 지방대 육성책 발표가 때늦은 감이 있지만 이번 안이 상당히 구체적이 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지방 대학가에서는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이 계획에 반색하는 사람들보다 우려와 걱정의 목소리를 보태는 사람들도 벌써부터 많아지고 있다.

우선 지방대 졸업생들에게 '특혜'를 주지 않고서는 같은 출발선 상에서 이미 시작 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른 사회의 현실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한국 사회 전반의 고질적인 학벌의식과 이에따른 취업차별이 사라지지 않는한 이 같은 '대책'도 한낱 미봉책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또한 정부의 조치중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인 '임용후보제도'도 벌써부터 위헌 소지 가 일고 있다. 교육부 대책에서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된 수도권출신 지방대생들에겐 오히려 이 제도가 역차별 논란을 불러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이 제도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대학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정치권부터 보세요. 잘 나간다는 386세대들의 공천도 모두 서울지역 몇몇 명문 대 출신에 치우치지 않았습니까" 지방대 한 교수의 볼멘 목소리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