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 교육환경개선 등이 주요 안건

대학생들이 다시 뭉치고 있다. 80년대 대학가, 반독재 투쟁 및 학원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생들은 자신들의 뜻을 관철시키고자 학생총회를 성사시켰다. 전체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생총회는 학생들의 최고의사결정기구라는 점에서 학내 안팎으로 파급력이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90년대 중반이후 학생회 조직이 약해지면서 학생총회는 갈수록 어려워졌다. 사회 분위기가 달라진데다 과거 80년대 학생들처럼 자발적 참여도 사라졌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최근 등록금 인상반대와 교육환경개선 등을 주요 안건으로 학생총회가 성사되는 대학이 늘어나 눈길을 끌고 있다. 중앙대는 지난달 23일 정족수보다 6백명을 초과한 학생 1천9백여명의 참여로 13년 만에 학생 총회를 개최했다. 학생들은 등록금 동결 및 각 단과대별 수업 공간 확보 등의 요구안을 학교 측에 전달,, 박범훈 총장으로부터 “학생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보겠다”는 입장을 들었다. 부산대도 같은 달 30일, 개최정족수 4천3백95명을 상회하는 4천5백명 이상의 학생들이 모여 학생총회를 성사시켰다. 지난 87년 이후 18년 만의 일이었다. 이 날 학생들은 올해 등록금 인상분 전면 재조정, 학사행정의 민주화 요구안을 만장일치로 확정하고 학교 측에 제출했다. 조태흠 학생지원처장은 “그동안 학생들과 대화가 부족했던 것을 인식하고 있다”며“학교의 정책을 학생들에게 설명하는 기회를 넓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숭실대 역시 지난날 30일 1천3백50여명의 참가로 학생총회를 열었다. 학생들은 등록금 8% 인상반대와 학내 공간문제 해결, 야간 등록금 5%환불 등의 요구안을 상정, 통과시켰다. 이효제 총장은 “모든 사항에 대해서 합리적 해결 방법을 모색해 보겠다” 며 학생들과의 논의의 뜻을 비쳤다. 고려대는 이 달 7일 전체 학생의 10%가 넘는 1천8백여명의 참여로 비상학생총회를 성사시켰다. 학생회측은 등록금 분납과 면학장학금 확충, 애기능 도서관 건립 등의 안건을 학교 측과 타결했다. 그러나 등록금 동결과 일제잔재청산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부산대 박영민 총학생회장(특수교육4)은 “한 달 가량의 준비기간을 통해 과학생회와 동아리 학우들까지 설득할 수 있었다” 면서 “학생회와 학생운동의 위기라고는 하지만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등록금 인상 등 공감할 수 있는 교육환경문제를 제기한 것 등이 총회를 성사시킬 수 있었던 요인”이라고 말했다. <김용운 기자> woon@unn.net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