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범위한 연구윤리 뒷받침하는 제도 미흡"

포스텍 연구윤리정보센터 조사

[한국대학신문 백수현 기자] 과학기술관련 관료들의 윤리의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와 연구개발인력교육원 연구윤리정보센터(CRE)가 국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공동 실시한 설문결과를 6일 발표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연구윤리를 매우 중요한 가치관으로 생각하느냐에 대한 질문에 연구자들의 92%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과학기술관련 정부부처 관료들이 연구윤리를 중요한 가치관으로 인식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연구자 중 62%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다. 그렇다고 답한 연구자는 30%에 그쳤다.

우선, 지난 몇 년간 국내 학계의 연구윤리에 대한 의식변화를 묻는 질문에 개선됐다고 생각한다는 답변이 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시적으로 개선되는 듯 했으나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는 답변이 30%, 개선되지 않았다는 답변은 12%로 나타났다. 본인의 연구윤리 의식에 대한 변화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는 답변이 14%, 어느 정도 변화가 있었다는 답변이 53%로 나타나 전체 참여자 중 67%가 변화가 있었다고 답변했다.

또 연구윤리의 범위를 묻는 질문(복수응답 가능)에는 △데이터의 책임있는 통계분석과 결과해석 74%△연구비 집행 및 관리 67% △실험데이터 작성 및 관리(연구노트 작성) 62%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과 공동연구에서의 역할분담 59% △지도교수와 학생간의 관계 53%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논란이 된 연구윤리 대상이 대부분 논문에 대한 부정행위(조작, 표절, 대필, 저자권 등)와 생명윤리였지만, 실제 연구자들은 연구윤리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윤리와 관련해 가장 필요한 제도적 장치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연구윤리 교육 필수화, 교육이수 필수화라는 응답이 33%로 가장 높았고, 연구윤리 부정행위에 대한 법적·제도적 강력한 처벌 기준 마련이 27%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해 소속기관으로부터 연구윤리관련 교육을 받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52%만 그렇다고 답변해 설문조사 참여자 중 절반이 연구윤리와 관련된 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은 주로 연구노트작성법과 논문작성법(표절, 중복게재, 조작 등), 생명윤리법 관련, 지적재산권 및 저작권 관련인 것으로 조사돼 과학자의 사회적 역할과 윤리, 조직 간의 갈등, 조직 내 구성원 갈등에 대한 내용의 교육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설문 참여자들이 교육받고 싶은 내용으로는 △논문작성법(표절, 중복게재, 조작 등) 49% △지식재산권 및 저작권 관련 32% △조직 간의 갈등 30% 순의 결과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2005년 배아줄기세포 논문 조작 사태 이후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변화 됐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됐다.

연구윤리정보센터와 생물학연구정보센터 이용자 총 1028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3부터 30일까지 7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응답자를 자세히 살펴보면 박사ㆍ박사과정 60%(619명), 석사ㆍ석사과정 28%(289명), 학사 11%(112명)이었으며, 직책별로는 책임급ㆍ교수 18%(180명), 박사후과정 11%(115명), 연구원 20%(205명), 대학원생 27%(280명) 이었다. 소속기관별로는 대학 54%(560명), 기업ㆍ벤처 17%(170명), 대학병원ㆍ일반병원 10%(10%), 정부출연연구소 8%(81명)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