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인상규탄 공동성명 내고 서명운동 돌입

▲ 6일 연세대·고려대 일반대학원 총학생회 연합’이 연세대 백양로 삼거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등록금 반환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연세대 “등록금 공공성 따질 거면 국립대 가라”
고려대 “요즘 대학원생들은 가정 형편 넉넉”

[한국대학신문 최성욱 기자] 연이은 ‘등록금 인상’에 대학원생들이 ‘행동’에 나섰다. 6일 연세대와 고려대 일반대학원생 대표 10여명이 연세대 백양로와 고려대 본관 앞에서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두 대학의 대학원생들은 ‘등록금인상을 규탄하는 연세대·고려대 일반대학원 총학생회 연합’(이하 연고대 대학원생연합)을 결성하고 ‘등록금 반환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이날 연세대와 고려대를 순회하며 기자회견을 연 ‘연고대 대학원생연합’은 “올해 서울 주요 대학의 학부 등록금은 대부분 인하했지만 대학원은 하나같이 인상됐다”며 “소외된 대학원생들의 현실을 알리고 근거 없이 결정되는 대학원 등록금 인상을 규탄하기 위해 거리로 나섰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연세대와 고려대는 올해 학부 등록금을 각각 0.8%, 1% 내렸지만, 일반대학원은 1.5%, 2% 올렸다. 이 과정에서 특히 일반대학원 학생들이 학부, 특수·전문대학원과 형평성이 어긋난다며 강하게 반발해왔다. 이들 대학은 지난 1월 등록금심의위원회(이하 등심위)를 3~4차례 진행하는 동안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새 학기를 맞았다.

등심위 초반, 연세대는 의·공학계열 1.5%, 인문·사회·예체능계열 2.5%씩 인상하는 ‘계열별 차등 인상안’과 입학금 2.5% 인상안을 제시했다. 학생들이 반발하자 대학 측은 전 학과를 똑같이 1.5% 인상키로 하고 입학금은 동결했다. 고려대도 학부 1% 인하, 특수·전문대학원을 동결한 반면 일반대학원만 2% 인상하면서 형평성 논란을 일으켜왔다.

김영세 연세대 기획실장은 그러나 “대학원은 장학금 혜택이 많고, BK21 등 연구프로젝트를 통해 발생할 기대수익 등 등록금 인하요인이 있다”며 “학부와 비교해 차별적으로 책정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이 단체의 한 대학원생은 “최근 대학가의 등록금 인하 분위기에 묻혀 차별적으로 인상되고 있는 대학원 등록금의 실상을 알리고, 학부 등록금 수준의 ‘동결·인하’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원생들은 등록금의 차별적 인상과 함께 대학 측의 고압적인 태도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은 “대학이 등심위를 학부 등록금 중심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대학원생들이 의견을 낼 기회가 적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1월 열린 연세대 등심위에서 대학원생들은 “최근 5년 동안 등록금이 100만원이나 올랐다. 등록금의 공공성을 감안해 장기적으로 인하안을 마련해 달라”고 제안했다. 그러자 이 대학의 책임자는 “연세대는 사립대라서 공공성과 관련 없다. 공공성을 논하려면 국립대로 진학하라”고 대답했다. 대학원생들은 대학이 대학원 등록금에 관한 논의를 잘라버렸다고 받아들였다.

이들은 또 등심위에서 대학 측 대표자들이 대학원생에 대한 차별적 표현이나 편견도 서슴없이 내뱉는다고 지적했다. 일반대학원 2% 인상안을 내놓은 고려대가 그렇다. 지난 1월 열린 등심위에서 대학 측 대표는 “일반대학원 재학생 중 학자금 대출을 받지 않는 학생들은 학비 부담이 없지 않느냐”며 “대학원생 학비는 후속 BK21사업으로 해결하면 된다”고 말했다. 학비 부담이 없다는 말은 대체로 가정 형편이 괜찮은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한다는 말을 에둘러 표현한 것이다. 

최근 서강대는 등심위에서 대학원생의 발언권을 가로막아 빈축을 산 적이 있다. 등심위에 참가한 학생들에 따르면, 대학 측 대표는 대학원 총학생회장에게 “등심위는 대학원생들에겐 해당사항이 없는 것이니 조용히 앉아 있으라”는 말로 회의를 시작했다. 이 때문에 대학원 등록금은 학부생 대표의 입을 통해서 논의돼야 했다.

이날 기자회견장에서도 대학원생들은 “대학원 교육은 학부교육과 달리 ‘선택적인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의제로 채택되기 어렵다”며 “반값등록금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도 대학원생들은 항상 소외돼 왔던 게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이번 ‘연고대’ 대학원생들의 문제제기로 대학원 등록금 책정에 어떤 변화가 올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