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이 연구실 일일이 방문하고 전담 행정실 10년만에 부활도

“연구중심 정체성 확고히” “BK21+로 지원 시스템 강화될 것”

[한국대학신문 민현희 기자] 최근 대학들이 지난 수년간 학부생에 비해 소홀히 해왔던 대학원생 유치·관리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 눈길을 끈다. 특히 이 같은 움직임은 올해부터 7년간 총 3조3143억원의 국고가 투입되는 대학원 지원 사업 ‘BK21+’를 계기로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게 대학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16일 대학가에 따르면 최근 수도권 대형대학, 지역거점국립대학 등 연구중심대학들이 대학원생 유치·관리에 부쩍 공을 들이고 있다. 우수 대학원생 유치, 이탈 방지가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연구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한 핵심이자 밑거름이기 때문이다.

성균관대의 경우 김준영 총장이 지난달 2주에 걸쳐 하루 3~4시간씩 자연과학캠퍼스 내 464개 연구실에 방문해 교수, 대학원생들과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김 총장이 연구실을 대대적으로 돌며 대화를 나눈 것은 지난 2011년 1월 취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타 대학에서도 총장이 500개에 가까운 연구실을 집중 방문하는 일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이번 방문을 통해 대학원생들은 김 총장에게 해외 대학과의 공동연구 활성화, 우수 대학원생 유치 확대를 위한 단과대학 간 유기적 협조 체제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이 대학 관계자는 “대학원생들을 격려해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기초를 탄탄히 하고 학문 후속세대 육성, 교수 연구진흥에 탄력을 더하고자 총장이 일일이 연구실을 방문하게 됐다”고 밝혔다.

▲ 이달 9일 성균관대 인문사회과학캠퍼스에서 열린 ‘대학원 페어’에서 학생들이 대학 관계자로부터 상담을 받고 있다. 한명섭 기자 news@unn.net
성균관대는 이달 8일과 11일 각각 인문사회과학캠퍼스와 자연과학캠퍼스에서 대학원 입학설명회인 ‘대학원 페어(fair)’를 개최하기도 했다. 지난해 1학기부터 매 학기 열리고 있는 이 행사에는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은 물론 일반대학원도 참가해 입학, 교육, 연구, 졸업 후 진로 등에 관한 설명과 1대 1 상담을 벌였다. 타 대학 학생 약 150명을 포함해 총 450명의 학생이 참가했다.

대학원생들은 이 같은 행사가 우수 학생 유치, 대학원생 중도 탈락 방지 등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성균관대 사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최혜지씨(26)는 “대학원 진학 시 정보를 얻는 게 쉽지 않다. 대학원의 분위기, 연구 환경 등을 모르고 진학했다가 자신과 맞지 않아 중간에 그만두는 학생들도 많다”며 “대학원 페어는 대학의 우수 학생 유치는 물론 학생들의 대학원 선택과 안정적인 학업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부산대·전남대는 이번 학기 시작과 함께 대학원 전담 행정실을 10여년 만에 부활시키며 대학원 집중 관리에 나섰다. 이들 대학은 그동안 교무처, 각 단과대학 등에서 담당해온 대학원 관련 업무를 전담 행정실로 일원화해 교수, 대학원생들에게 원스톱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부산대는 2명, 전남대는 5명의 직원을 대학원 행정실에 배치했다.

최재원 부산대 기획처장은 “거점국립대로서 지역 내 타 대학과의 차별성을 강화하고 연구중심대학으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자 대학원 행정실을 부활시키게 됐다”며 “대학원 행정실 규모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대학원생들에게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학 관계자들은 이 같은 대학들의 움직임이 BK21·WCU의 후속 사업인 BK21+를 계기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BK21+ 선정 과정에서 △대학원 제도 개선·지원 △연구중심대학으로의 시스템 개선방안 △대학원생 확보·배출 실적 등이 반영되는 데다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우수 대학원생 확보가 필수기 때문이다.

서울 한 대학 산학협력단장은 “앞서 실시된 BK21·WCU의 경우에 비춰 봤을 때 BK21+ 선정 여부에 따라 대학원의 생사가 갈린다. 때문에 올해와 내년 BK21+ 지원 대학 선정에 앞서 많은 대학들이 대학원생 유치·관리 시스템을 전격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는 “대학들이 그동안 학부에 비해 소홀히 해왔던 대학원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은 대단히 고무적”이라며 “BK21+를 통해 선진화된 대학원 지원 시스템이 정착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최재원 처장은 “BK21+를 앞두고 대학들이 향후 어느 방향을 향해 나아갈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연구중심대학으로 방향을 정한 대학들은 대학원 지원·관리를 대대적으로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