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단장들이 말하는 ‘노벨과학상’

이은규 기초연구본부장 “연구기반 탄탄히…정부 집중 지원 중요”
김동호 자연과학단장 “일단 수상자 1명 나오면 봇물처럼 터질 것”
김준 생명과학단장 “연구비 지원부서 독립, 과학자들 자율성줘야”

[한국대학신문 최성욱 기자] 한국연구재단(연구재단)에서 노벨과학상과 가장 밀접한 업무를 맡고 있는 곳은 기초연구본부다. 노벨과학상은 물리·화학·생리의학 부문에 시상하는데 기초연구본부도 △자연과학단 △생명과학단 △의약학단으로 구성돼 있다. 기초연구본부의 단장들은 국내학자들의 노벨과학상 수상을 어떻게 점치고 있을까.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태평로에 위치한 코리아나호텔에서 만났다.

<인터뷰 참석자>
- 이은규(이하 ‘이’):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장·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61세
- 김동호(이하 ‘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자연과학단장·영남대 물리학과 교수·56세
- 김준(이하 ‘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생명과학단장·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56세

-노벨과학상이 과학계에서 갖는 위상과 의미는.

▲ 이은규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장
이: “과학기술의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세계적으로도 노벨과학상을 배출한 나라가 과학기술력도 상위에 있다. 노벨과학상을 올림픽 금메달에 비유한다. 물론 노벨상 받는다고 국민소득이 2만~3만불 되는 건 아니지만.”

-‘스타 과학자’를 많이 육성하면 수상 가능성 있다는 말인가.

이: “꼭 그렇지도 않다. 지난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일본의 야마나카 신야 교수가 대표적이다. 10여년 전, 교토대학에서 신야 교수를 만났을 때만 해도 그는 특출난 스타가 아니었다. 교토대나 동경대 등 유명대학 출신이 아닌 학자가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정도로만 알려져 있었다. 일본은 연구기반이 탄탄한 가운데 정부에서 집중적인 지원을 했기에 가능했다.” 

김: “일본은 개화기 때 당대 기초과학의 요람으로 인정받던 독일의 카이저빌헬름연구소(막스플랑크연구소의 전신)에 사신을 파견했다. 일찍부터 기초과학을 국가가 책임져야한다는 인식을 가지게 된 것이다. 한국의 경우 늦게 출발했고, 기초과학에 민간투자가 적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국가투자를 꾸준히 늘려갈 수밖에 없다.”

준: “기술과 과학을 분류하자면 기술은 이론까지만 습득해도 일정정도의 성과가 나온다. 반면 과학은 어느 한 연구자가 하나의 연구주제를 10~30년 지속적으로 붙들고 연구해야 ‘핵심 원리’를 발견하게 된다. 굳이 비유하자면 노벨과학상은 한 분야에서 수십 년 연구해서 1등에게 주는 거다. 기초과학 전체를 성장시키는 게 중요하다.”

-연구재단의 역할과 노벨과학상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나.

▲ 김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생명과학단장
이: “연구재단에는 의과학을 포함한 기초연구지원 부서가 있다. 전체 지원사업의 약 40%를 자연과학과 생명과학과 같은 기초과학에 집중 지원한다. 연구재단은 연구자가 하고 싶은 주제에 연구비를 지원하는 ‘바텀 업(bottom up)’ 방식이다. 이렇게 연구자에게 자율성을 보장해주는 재정지원정책이 뒷받침 돼야 노벨과학상도 기대할 수 있다.”

준: “맞다. 정책과제를 먼저 제시하고 연구자들을 선정하는 ‘탑 다운(top down)’ 방식은 치열한 연구비 경쟁 속에서 자칫 연구를 가장 왕성하게 해야 할 상당수의 40~50대 중견과학자들의 연구를 가로막게 만들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연구기반의 허리가 무너진다. ‘바텀 업’으로 최대한 많은 연구자들을 지원한 후 남은 예산으로 ‘탑 다운’해야 한다.”

이: “학자 1인당 연간 1억~2억 규모로 3~5년 지원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본다.”

-현재 연구재단이 기초과학을 육성하는 대표적인 연구비지원사업을 꼽으면.

이: “연구재단은 일반·중견·리더연구자사업 등 3단계로 나눠서 지원한다. 일반연구자 사업이 4500억원, 중견연구자가 2500억원, 리더연구자사업이 1천억 규모다. 리더연구자사업에 ‘창의적 연구사업’이 있다. 연구자 1인당 1년에 8억원씩 최장 9년간 지원한다. 이 부문에 현재 100여명의 연구자들이 있는데 이들이 국내학자 중에서 노벨과학상에 가장 근접해 있다고 보면 된다.”

-연구재단은 그간 ‘SCI급 논문’ 생산에 많은 지원을 해왔는데.

▲ 김동호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자연과학단장
김: “노벨과학상도 초기 진입장벽이 있다. 누군가 한번 받으면 봇물처럼 터질 것이다. 국내학자들이 만들어내는 SCI급 논문에서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비단 20~30년 전만 해도 SCI 같은 세계적인 ‘특급 학술지’에 논문 한 편 내기 어려웠는데, 진입장벽이 깨지니 막 쏟아지지 않나. 노벨과학상 선정위원회가 수상경력이 있는 학자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단 수상자를 한 명이라도 배출하는 게 중요하다.” 

-노벨과학상 가능성을 점쳐본다면.

준: “과학자들은 간섭하면 노벨과학상 안 나온다. 자유롭게 만들어줘야 한다. 국내 학계는 지금까지 기술개발을 많이 이뤄냈다. 과학은 맨 마지막에 꽃이 피는 것이다. 연구비를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과학자들에게 자율성을 준다면 시간문제라고 본다. 우선 미국 국가과학재단(NSF)처럼 독립된 기관이 자체적으로 예산 분배를 할 수 있는 기구가 있어야 한다.”

이: “한국은 국가가 연구개발(R&D)에 재정을 지원한 지 30여년밖에 안 된다. 이런 상황에서 노벨과학상 못 받는다고 조급해 하는 건 무리다. 앞으로 5~10년 정도 더 투자하고 국제화 측면에서 노력한다면 노벨과학상은 자연히 따라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