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전 입학처장 아들의 부정입학 의혹으로 파문이 일고 있다. 제자의 답안을 대리 작성해준 교사에 이어, 아들이 입시를 치르는 대학의 입학업무를 관장한 아버지라니. 게다가 교육부 조사 결과대로라면 답안 유출 의혹마저 짙다. 하지만 더욱 충격적인 것은 ‘아들이 지원할지도 모른다’며 거듭 사의를 표명한 입학처장을 이 대학 총장 등이 만류했다는 사실이다. 대학의 입시업무는 일년이 멀다하고 바뀌는 정부 정책에 휘둘리고, 전형방법도 제각각인데다 연중 상시 입시체제를 가동해야 하는 상황. 입학 관련 부서는 2년마다 교체되는 보직교수들이 업무파악 하는 데만도 적잖은 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곳으로 정평이 나 있다. 게다가 무전기를 통한 편입학 부정 행위자들이 서울지역 10여개 대학을 타깃으로 광범위한 부정을 저질렀을 때도 이 대학에서만은 성공할 수 없었다니, ‘일 잘 하는’ 입학처장을 놓치고 싶지 않았을 대학 경영진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 법도 하다. 하지만 이건 아니다. ‘자녀 지원 교직원의 입시업무 배제’ 내규로도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던 것 아닌가. 그럼에도 최고 결정권자는 내규를 어겨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더욱이 이번 일은 최근 교육부총리 낙마를 둘러싼 파문을 떠올리게 한다는 데서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겼다. ‘업무능력이 뛰어난 점’을 내세우며 도덕적 결함을 소홀히 한 결과 ‘교육부총리 취임 5일만에 낙마’라는 사태를 낳았던 청와대의 어이없는 인사 원칙까지. 우리 사회가 성과 우선주의에 도덕 불감증마저 앓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내규위반 등 관리소홀로 서강대는 교육부로부터 ‘기관경고’ 조치를 받았다. 그러나 끝이 아니다. 대학의 근간인 ‘신뢰’에 오점을 남긴 만큼 철저한 자기비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전임 입학처장 아들의 부정입학 의혹도 명백하게 밝혀내야 한다. 대학의 신뢰를 위협한 이상 서강대만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