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전문대학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오는 2017년까지 전문대학 취업률을 8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로 △특성화 전문대학 100개교 육성 △수업연한 다양화 △산업기술명장대학원 설치 △평생학습기능 강화 △전문대학생의 해외진출 촉진 등을 제시한 것이다. 교육부가 밝힌 이 방안은 크게 보면 ‘전문대학의 제자리 찾기’에 해당한다.

지금의 전문대학이 출범한 시점은 34년 전인 1979년이다. 1950년대 초급대학으로 시작해 60년대와 70년대 실업고등전문학교, 전문학교를 거쳐 전문대학으로 개편됐다. 그동안 전문대학은 520만 명의 중견 기술인을 양성, 국가 산업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온 게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문대학이 출범 당시의 설립목적인 ‘고등 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수업연한이 일률적으로 제한(2~3년)돼 있어 34년간 급변해 온 산업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무엇보다 전문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이 부족해 교육 여건이 열악하다는 불만도 나온다. 실제로 2011년 현재 전체 사립대에 대한 정부 지원액(2조3600억 원) 가운데 사립전문대학에 대한 지원은 19.6%(4600억 원)에 불과하다. 4년제 사립대에 정부지원의 80% 이상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문대학의 취업률은 지난해 기준 60.9%로 4년제 대학(56.9%)보다는 높지만, 전공분야 연계 취업률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전문대학 졸업생의 전공·취업 일치도는 1990년 81.5%로 정점을 찍은 뒤 2000년 74.5%, 2008년 72.2%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런 면에서 정부가 꺼내 든 ‘특성화 전문대학 100개교 육성’은 적절했다고 보여 진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기반으로 현장중심 교육을 펴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력을 키워내고, 전체 139개 전문대학 중 100개 대학의 특성화를 장려한다는 점에서 자연스럽게 구조개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문대학 중 2017년까지 정부 지원을 받는 100개교에 포함되지 못하는 대학은 시장에서 자연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의 구상은 이렇게 전문대학을 원래의 설립 목적대로 제대로 된 ‘직업교육기관’으로 안착시킨 뒤 수업연한 다양화와 산업기술명장대학원 등을 설치해 전문대학을 평생 직업교육기관으로 변모시킨다는 것이다. 이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바로 전문대학에 진학하기보다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 후 취업을 한 뒤 자신의 직무분야에서 꾸준히 교육을 받아 전문성을 키워가는 구조다.

다만 우려되는 바는 전문대학 수업연한을 다양화 했을 때 기존 4년제 일반대학과의 경계선이 애매모호해지는 데 있다. 그간 일반대학에서 취업률을 의식, 전문대학의 전공(학과)을 베껴오면서 이미 “전문대학=직업교육, 일반대학=학문연구란 공식이 깨진지 오래”라는 전문대학들의 지적도 있지만, 다른 한 쪽인 4년제 대학들의 살길이 마련되지 않는 한 또 다른 불균형이 초래될 수도 있다. 이번 발전방안을 보고 대학가에서 “역으로 4년제 대학이 고사되는 것 아니냐”란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교육부가 기왕 교통정리에 나섰다면, 특성화 등을 통해 전문대학과 일반대학 간 역할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대학 자율화에 따라 대학별 자구책은 각자 대학의 몫이겠지만, 전체적인 틀은 교육당국이 짜야하기 때문이다. 이번 발전방안이 대학가의 혼란을 극복하고,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역할 구분을 새로이 정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