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선정결과 분석해보니···

유기풍 서강대 총장 SNS에 “강소대학 말살 정책” 비판
서울대 인문사회분야 참패···내부에선 ‘원인 분석’ 한창
경희대·고려대·부산대 사업단·지원금 증가에 ‘표정관리’

▲ 수도권 주요대학 BK21 플러스 사업 선정 결과.(출처: 교육부, 단위: 억 원)
[한국대학신문 특별취재팀] BK21 플러스사업 선정결과에 따라 대학별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서울대·서강대·연세대 등 성적이 부진한 대학들은 불만을 표출하고 있고, 경희대·고려대·부산대 등 사업단 수와 정부 지원액이 늘어난 곳은 표정관리에 들어갔다.

◆ 서강대 총장 “대형大 독식” 불만= 21일 대학가에 따르면, 교육부가 최근 ‘BK21 플러스’ 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하자 대학가가 술렁이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15일 전국 64개 대학 195개 사업단과 280개 사업팀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3가지 사업유형 중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지원이 핵심이다. 역시 대학원생 지원을 목적으로 2006년부터 시작된 ‘2단계 BK21’의 후속사업에 해당 한다. 대학들이 2단계 사업 선정 때와 성적을 비교한 뒤 엇갈린 반응을 내놓는 이유다.

먼저 눈에 띄는 곳은 성적 부진으로 불만을 표출하는 대학들이다. 가장 두드러진 곳은 서강대로 이번 BK21 플러스에선 힘을 쓰지 못했다는 평가다.

서강대는 지난 2006년 2단계에서 사업단 2곳(화공·생물) 등 모두 10개 사업단(팀)이 선정됐지만, 이번에는 신청한 사업단이 모두 탈락했다. 비교적 지원 규모가 적은 7개 사업팀(화학·수학·전자정보통신 등)만 선정돼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원액도 16억 원으로 2단계 때(28억)에 비하면 반 토막에 가깝다.

충격적 소식을 전해들은 유기풍 서강대 총장은 자신의 페이스 북을 통해 15일과 17일 두 차례에 걸쳐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15일에는 “BK21사업은 작지만 충실하게 교육과 연구를 제대로 하는 강소대학들이 규모면에서 (평가에) 불이익을 받고 있다”며 “수도권 국립대, 대형 지방 국립대, 대형 사립대가 (사업비를) 독식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17일에도 BK21 플러스 사업을 두고 “고유한 교육철학과 이념으로 국제화된 수월성 교육을 지향하는 강소 사립대를 국가가 나서 말살하려는 탁상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서울대는 사업비 면에선 전국 1위를 기록했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속이 쓰릴 지경이다. 과학기술분야에선 물리·생물·정보기술·기계 등 주요 학과가 사업단에 선정됐지만, 인문사회 분야는 경제·행정 등 4개 사업단 선정에 그쳤다. 사업단(팀) 수는 2단계 사업 때와 비교하면 44개에서 35개로 줄었다. 사업비도 497억에서 385억 원으로 삭감됐다.

보직교수들은 이 같은 결과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성노현 연구처장은 “내심으로는 지원한 사업단(팀)이 모두 선정될 줄 알았는데 인문사회 분야에서 대거 탈락해 당황스럽다”며 “학교 내부적으로 성적부진 요인을 분석하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 사학 맞수 대결서 고려대 ‘승’= 연세대와 이화여대의 표정도 밝지 못하다. 특히 연세대는 2단계 BK사업 때보다 사업단 수가 33개에서 23개로 줄었다. 사업비도 255억에서 211억 원으로 44억 원이나 깎였다. 지원액 기준 대학 순위에서도 고려대에 2위 자리를 내주고 3위로 내려앉았다. 박태선 연구처장은 “2단계 때에 비해 지방대에 대한 선정비중이 늘어난 반면 사업비는 전체적으로 줄었다”며 “이런 변화에 비하면 최선을 다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화여대 역시 성적이 부진했다. 2단계에 비해 사업단(팀) 수가 18개에서 13개로 감소한 게 대표적 사례다. 사업비도 62억에서 38억 원으로 절반가량 줄었다.

인하대 역시 2단계 BK사업단이 대거 탈락하면서 위기감에 휩싸였다. 사업단 수는 6개에서 2개로 줄었다. 사업팀 수가 6개에서 7개로 1개 늘긴 했지만, 지원액은 68억에서 29억 원으로 대폭 삭감됐다. 사업비 순위도 11위에서 18위로 7계단 하락했다.

사업단의 경우 기초과학·화학·기계분야 등은 2단계에 이어 이번 사업에서도 선정되며 체면을 차렸지만, 응용·정보기술·의학 분야의 사업단은 대거 탈락했다. 조우석 산학협력단장은 “전국과 지역단위로 나눠 사업단을 선정하다보니 지역 거점대학의 지원금이 늘어 지원액 기준 순위가 밀려난 것”이라며 “이번에 선정되지 못한 사업단은 오는 2015년 예정된 중간평가에서 신규 진입을 노리겠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BK21 플러스 선정평가 결과, 64개 대학이 최종 선정됐다. 특히 선정과정에서 전국과 지역 트랙을 나눠 심사, 지방대 사업단 선정 비중이 35%에서 44%로 늘었다. 지방대들은 ‘전국’이 아닌 ‘지역’ 트랙에서 같은 지방대와 경쟁했기 때문에 선정 가능성이 비교적 높았다는 분석이다. 반면 수도권 대학과 KAIST·포스텍 등 과학기술대학은 지역 트랙에서 배제되고, 전국단위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역차별을 받았다는 불만이 나오는 이유다.

◆ 지방 선정비중 늘며 수도권大 ‘타격’= 대표적인 곳이 한양대다. 한양대는 2006년 2단계 사업에서 무려 28개의 사업단이 선정되며 지원액(154억 원) 기준 전국 6위에 올랐었다. 그러나 이번 플러스 사업에선 선정 사업단·팀 수가 10개에 그치며 참패했다. 사업비도 53억 원으로 줄어 무려 100억 원이 깎여 나갔다. 지원액 기준 전국 순위는 7계단이나 하락해 13위에 그쳤다.

최덕균 산학협력단장은 “2단계 때에 비해 사업단 수의 비중이 줄어들고 지방으로 많은 예산이 배분되면서 수도권 대학 중 우리 대학이 선정 커트라인에 걸려 피해를 봤다”며 “사업 탈락 원인을 분석해 2년 뒤 중간평가에서 재진입하겠다”고 밝혔다.

건국대도 사업단·팀 수가 14개(39억)에서 8개(21억)로 줄었다. 학교 내부적으로는 지방대 선정비중이 늘어난 점과 ‘SKY 대학’에 지원이 집중된 이유를 성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그나마 글로컬(충주)캠퍼스의 3개 사업단(팀)이 선정되며 11억 원을 지원받게 된 게 위안거리다.

건국대 관계자는 “지원액 기준 상위 1~5위까지의 대학이 가져가는 사업비가 나머지 40위까지의 대학 사업비를 합친 것보다 많다”며 “SKY 대학을 뺀 나머지 대학은 연구인력 양성도 하지 말라는 얘기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성과 낸 고려대·경희대·부산대 ‘환호’= 반면 고려대·경희대·부산대 등 사업단 수와 지원액이 늘어난 대학들은 표정 관리에 들어갔다. 이 가운데 고려대는 2단계에 비해 사회학과가 탈락했지만, 생물·화학·정치외교·경영 등 분야가 신규 선정돼 사업단(팀) 수가 28개(200억)에서 29개(223억)로 늘었다. 지원액 기준 전국 대학 순에서도 2위에 오르면서 라이벌 연세대를 눌렀다.

고려대 관계자는 “이번 플러스 사업 선정에서 성과를 거둔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열심히 한 대학들을 생각해 말을 아끼고 싶다”면서도 “지난해 교수들의 노력으로 논문 실적이 많이 늘어난 게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부산대는 국립대 중 최고액(169억 원, 전국 4위)을 배정받았다. 과학기술(12개)·인문사회(3개) 분야에서 모두 15개 사업단을 유치한 부산대는 선정 사업팀까지 포함하면 전 분야에 걸쳐 27개 사업이 선정됐다. 부산대 관계자는 “대학원 교육·연구력 제고를 통해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다.

경희대도 2006년에 비해 사업단 수와 지원액이 늘면서 표정관리에 힘쓰고 있다. 경희대는 이번 플러스 사업에서 사업단 6개, 사업 팀 14개가 선정됐다. 지원액도 2단계 때의 65억 원보다 6억 원이 늘어난 71억이 배정됐다. 지원액 순위는 12위에서 8위로 뛰어 올랐다. 특히 전략적으로 지원해 왔던 관광분야가 신규로 선정된 것도 고무적이다.

김재경 산학협력단장은 “2008년 이후 관광대학을 키우기 위해 연구실적 개선과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 우수한 교수들을 충원해 왔다”며 “이런 노력 때문에 성과가 나타난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