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특화전문인재양성형 통해 8개 사업단 선정

내년부터 100억 원 투입···사업단별 10억 이상 지원
“대학원 산학협력·교육 실적, 창조경계 연계성 중시”

[한국대학신문 신하영 기자] BK21 플러스 사업 중 실무인력 양성에 초점을 특화전문인재양성형 사업이 공고됐다. 선정 과정에선 산학협력 실적과 대학원 교육역량 등이 주요 평가 요소가 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의 ‘BK21 플러스 특화전문인재양성형 사업’을 공고했다.

특화전문인재양성형은 얼마 전 사업 선정결과가 발표된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과는 다르게 실무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올해에만 50억 원이 투입되며, 내년부터는 연간 100억 원 씩 총 7년간(2013~2019) 지원된다.

사업단은 ‘전국’ 단위에서 3개, ‘지역’ 단위에서 5개를 선정한다. 내년부터는 사업단 별로 연간 10억 원이 넘는 재정지원을 받을 전망이다.

사업평가에서는 연구논문보다 창작물 실적이 높이 평가된다. 세계적인 디자인대회에서 입상한 작품 등이 많으면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실무인력 양성이 목표이기 때문에 산학협력 실적도 중요하다. 사업단 참여 교수의 연구비·기술이전·사업화 실적이 비중 있게 반영된다. 교육과정에 대해선 실무·융복합 인재 양성에 부합하는 실적과 계획 등을 평가한다.

사업에 참여하고자는 대학원은 단일 학과나 복수의 학과(부)로 사업단을 꾸릴 수 있다. 다만 단일 학과의 경우 창조경제의 가치를 살릴 수 있는 학문분야가 유리하다. 교육부는 “지원분야의 경우 과학기술·인문사회·예술 등 전분야로 하되 디자인·멀티미디어·문화콘텐츠·관광·건강·정보보호 등 특화된 분야를 중심으로 한 대학원을 우선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2개 이상의 학과가 손을 잡고 사업단을 구성할 경우 내년부터 사업 참여 학과를 통폐합한 단일 학과나 협동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사업단에 참여하는 교수 수는 사업단 소속 학과 전체 교수의 70% 이상이 돼야 한다. 얼마 전 발표된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 선정 사업단은 중복 신청할 수 없다. 현재 평가가 진행 중인 글로벌인재양성형을 신청한 사업단도 제외된다. 다만 심사의 가장 첫 단계인 요건심사에서 탈락한 사업단은 예외적으로 참여가 가능하다.

교육부는 다음 달 16일까지 신청서를 접수받아 평가를 거쳐 9월 말 선정결과를 발표한다. 최종 선정 사업단은 예산의 50% 이상을 대학원생 장학금으로 배정해야 한다. 석사는 월 60만원, 박사는 월 100만 원 가량을 지원받을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아무래도 실무인력 양성이 목표이기 때문에 대학원 교육역량과 산학협력을 중시할 것”이라며 “사업을 신청한 분야가 창조경제와 연계가 가능한지도 살펴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특화전문인재양성형 사업 평가항목과 배점안(자료: 교육부)

평가

영역

평가

항목

평가 지표

배 점

과기

인사/

예술

사업단의 목표 및

구성

(60)

1.사업단의

목표 및 구성

(20)

1.1.지원 분야 및 사업목표의 적절성

(미래 창조경제 실현, 고부가가치 산업, 국가전략산업분야와의 관련성, 지역 특화산업과의 연계성 등)

4

4

1.2. 사업단 구성의 타당성

8

8

1.3. 참여교수 구성의 적절성 및 우수성

8

8

2.사업단의 교육 기본 여건

(40)

2.1. 등록금 대비 대학원생 장학금 지급률 실적 및 계획 <학과기준>

등록금 대비 대학원생 장학금 지급률 실적(최근 3년간)

6

6

등록금 대비 대학원생 장학금 지급률 개선 계획

3

3

2.2. 대학원생 인력 확보/배출 및 지원 계획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최근 3년간)

4

4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2

2

2.3. 대학원생의 취업 및 창업 실적 및 계획

<참여교수 지도학생 기준>

취업률 실적(최근 1년간)

7

7

취업률 개선 계획

3

3

창업건수 실적(최근 1년간)

7

7

창업건수 개선 계획

2

2

취업 및 창업의 질적 우수성

6

6

창의적 교육 및 산학협력

(180)

3.참여교수 및 대학원생 역량

(45)

3.1. 참여교수 국내외 활동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

참여교수 1인당 연구실적 및 창작물 실적(최근 3년간)

13

13

참여교수의 대표실적(최근 5년간)

8

8

참여교수의 해당분야 역량제고 계획의 우수성

7

7

3.2. 대학원생 국내외 활동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

참여교수 지도학생 1인당 연구실적 및 창작물 실적(최근 3년간)

7

7

참여교수 지도학생의 1인당 학술대회 발표 실적

4

4

참여교수 지도학생의 대표실적 (최근 5년간)

3

3

참여교수 지도학생의 해당분야 역량제고 계획의 우수성

3

3

4.창의적 교육과정 구성 운영

(과기45)

(인사예술60)

4.1. 교육 목표 및 비전의 실현 가능성

5

8

4.2. 특성화된 융복합 교육과정 구성 운영 실적 및 계획

(전략 및 방법의 우수성, 교육과정 운영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

17

20

4.3. 전문 실무 인재 양성을 위한 취창업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

12

20

4.4.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의 국제화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

11

12

5.산학협력 실적 및 계획

(과기90)

(인사예술75)

5.1. 참여교수 1인당 연구비 수주 실적 및 계획

참여교수 1인당 연구비 수주 실적 (최근 3년간)

10

9

참여교수 1인당 연구비 수주 개선 계획

5

5

5.2. 참여교수 1인당 특허 등록(인사 및 예술:의장등록 포함) 환산 건수 (최근 3년간)

10

9

5.3. 참여교수 1인당 기술이전 실적 및 계획

참여교수 1인당 기술이전 실적 (최근 3년간)

12

2

참여교수 1인당 기술이전 개선 계획

5

1

5.4. 참여교수 사업화 실적 및 계획

참여교수 사업화 실적 (최근 3년간)

10

10

참여교수 사업화 개선 계획

3

4

5.5.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인적교류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

10

10

5.6.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실적 및 계획의 우수성

10

10

5.7. 창업을 포함한 산학협력 지원체계의 우수성

15

15

사업단

지원

(60)

6.사업단 지원

(60)

6.1. 대학차원의 특성화 계획과의 연계성

10

10

6.2 대학의 해당 분야 대학원 재정투자 실적 및 계획

대학의 해당 분야 대학원 재정투자 실적

10

10

대학의 해당 분야 대학원 재정투자 개선 계획

10

10

6.3 특성화 대학원 육성을 위한 대학차원의 제도개선 및 계획

12

12

6.4 체계적인 대학원 학위 및 학사 운영 관리 실적 및 계획

10

10

6.5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제도화운영실적 및 계획

8

8

합 계

 

300

300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