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본부 집중된 의사결정구조에 반기

2001년 한해 동안 대학 직원들은 '제목소리 찾기'에 적극 나섰다. 그동안 대학을 이끌어가는 한 축이었음에도 본부 및 국가 주도의 구조조정의 대상으로 분류됐던 직원들은 '행정의 전문성·독립성'을 주장하며 대학본부에 집중된 의사결정 구조에 반기를 들었다. 한정이 전국대학노동조합(이하 대학노조) 정책국장은 "IMF 이전 파업 사유가 임금에 국한됐다면, 이제는 '행정의 전문·독립성 보장'을 주 요구사항으로 제기하고 있다"며 "그 결과 대학사회의 한 주체로서 확실히 자리매김 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올해 2백여일이 넘게 진행된 숭실대 파업의 경우 표면적인 원인은 단협 결렬에 따른 파업이었지만 이면에는 총장과 이사장의 독단·독선에 대한 반발이 잠재돼 있었다. 지난달 파업에 돌입한 고려대 역시 총장의 독단적 대학 운영이 파업의 단초를 제공한 셈이었고, 덕성여대, 한동대 파업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동안 공무원이라는 신분의 제약 때문에 소극적인 대응에 그치던 국립대 직원들도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연합(이하 전공련) 출범과 함께 지난 3월 '국공립대 공무원직장협의회연합(이하 국공련)'을 조직했다. 강릉대, 경북대 등 21개 국·공립대에서 3천1백여명의 직원들이 함께 하고 있으며, 올해 말까지 5∼6개 대학이 더 가입할 예정이다. 이들은 '국립대 총장후보 선출 과정에서 직원들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산하에 '총장후보자 선출권 쟁취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두고 여론형성에 나섰으며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서울대, 부산대 등 대학노조 국립대 지부들은 올해 초 국립대학발전계획 저지를 위해 교수, 학생과 함께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공동대응에 나섰는데, 교수·직원·학생의 3자 연대는 사상 첫 시도로 교육운동사적 측면에서도 주목할만한 일로 평가되고 있다. 또 전국사립대학노조협의회 유제욱 의장(이화여대)는 사학연금운영위원회에 대학 직원들이 참가하기 시작했으며, 2주기 대학평가에 직원들에 관한 부분이 들어가는 등 대학 직원에 대한 대외적인 위상도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이를 뒷받침하듯 최근에는 해고자들도 복직에 한발 다가서고 있다. 조춘화 전 국민대 노조위원장은 지난 98년 해고된지 4년여만에 대법원에서 해고무효 확정판결을 받았고,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해고됐던 장백기 전 경희대 노조위원장도 민주화보상법에 따라 복권됐다. 하지만 한양대 임시직원들의 노조 설립을 시작으로 대학에서도 점차 늘어가고 있는 비정규직원들의 문제가 내년에는 전면화될 전망이며, 팀제 도입, 교수들의 연봉제·계약제 실시 등과 맞물린 직원의 연봉제 문제 등도 내년 대학가를 달굴 전망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