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대학 집중지원 교권위기 조장

대학 현장의 목소리를 무시한 사학 재단의 독선적 운영과 대학의 재정난이 ‘스승’의 설 자리를 잠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높다. ‘재단의 독선적 운영’으로 인한 문제는 최근 청주대에서 대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지난해 말 청주대 재단은 김준철 전 이사장의 장남인 김윤배 씨를 새 총장으로 전격 선임했다. 하지만 청주대는 김 전 이사장 일가의 토지횡령 등 업무상 배임혐의로 수년째 교수협의회와의 공방을 거듭해 왔고, 세 차례나 국정감사 피감기관으로 선정돼 도마위에 오르는 등 논란이 지속돼 왔다. 이런 상황에서 김윤배 씨의 총장 선임 결정은 내부 반발을 자초했다. 취임식 이전부터 교협 소속 교수들과 학생들의 반발이 시작됐고, 결국 김 총장의 석사학위 표절 건까지 공개돼 치명적인 상황으로 다다르고 있다. 지난해 대학가를 뜨겁게 달궜던 덕성여대나 숭실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재단의 독선적인 운영이 교수들을 농성 현장으로 내몰았다. 재단의 독선과 비리를 두고 보지는 않겠다며 학생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교수가 되겠다는 것이 이들의 의지였지만, 한편으로는 “교수로서의 본분을 지켜라”, “교수 집단의 궤도 이탈”이라는 비난을 감수해야했다. 서울의 주요 대학으로만 집중되는 재정지원도 교권 위기를 조장하는 요인이라는 지적이다. 국고보조금과 기부금 등이 대규모 대학으로만 몰리는 통에 지방 소재 소규모 대학은 존폐위기에 처했다. 그러잖아도 적은 연구비로 허덕이고 있는 지방대 소재 대학 교수들은, 학생모집 등에 동원되는 등 악순환을 겪고 있다. 지방의 M대학 강현채 교수(가명ㆍ독문). 전국 단위의 학회장을 맡고 있으며 각종 학술지에 논문을 싣고 있는 강 교수는 지난 한 해 동안 교내 연구비로 2백30만원을 지급받았다. 외부연구비는 없었다. 최근 지방 소재 대학 재직 교수들이 더 나은 연구 여건을 따라 서울 지역으로 이동하는 추세다. 하지만 이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뒷받침되는 IT, BT 등 공학계열 교수들에만 해당되는 경우. 비인기 기초학문 전공 지방 사립대 재직 교수들은 더 나은 여건을 찾아 이동할만한 여건도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남아 있는 지방대 비인기 학과 교수들은 책값 대기도 벅찬 연구비로 근근히 버틸 수밖에 없다. 강 교수는 “수도권과 지방 대학을 비교했을 때, 교수 수준은 이미 평준화됐다. 하지만 교수 연구비의 지역별 차등 실태는 심각하다”며 “이같은 상황은 수도권 중심 정책의 구조적인 문제의 연장선에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