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민현희 기자] “자랑스러운 동문상을 제정하려 했는데 받겠다는 사람이 없어 계획을 접었어요. 하나 같이 출신 대학이 알려지는 게 싫다면서 거절하더라고요.”

한 지방대 관계자의 푸념이다. 이 대학은 구성원 자긍심 제고, 대학 홍보 등을 위해 성공한 동문들을 찾아 시상하려는 계획을 세웠지만 결국 포기했다. 대학 측의 연락을 받은 동문 모두가 “하위권 지방대를 나온 게 공개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곤란함을 표했기 때문이다.

비슷한 일은 전문대학에서도 자주 일어난다. 수도권 한 전문대학 교수는 “우리 대학 졸업생 상당수가 4년제 대학으로 편입학하는데 사회에 진출하면 전문대학 출신이라는 것은 숨기려 한다”며 “재학생 특강 등을 요청하고 싶어도 적당한 동문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박근혜정부가 ‘지방대학 육성방안’ ‘전문대학 육성방안’을 내놓으며 지방대와 전문대학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학들의 기대는 상상 이상이다. 특히 대학들은 “정부 육성방안을 통해 지방대와 전문대학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사라지고 구성원 스스로가 자랑스러워하는 대학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수년간 계속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화되고 4년제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우수한 지방대와 전문대학까지도 자구 노력만으로는 발전과 변화에 한계가 있다. “훌륭한 모교의 교육 덕에 성공했지만 내가 졸업생이라는 게 알려지는 것은 부끄럽다”는 한 지방대 출신 사업가의 말은 지방대와 전문대학의 답답한 현실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지방대와 전문대학 총장들이 매년 신입생 입학식에서 공통적으로 하는 이야기가 있다. “대학생활에 열정을 갖고 임한다면 지방대나 전문대학 출신이라도 충분히 성공하고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 같은 이야기가 오롯이 실현되려면 개별 대학을 넘어선 정부 차원의 노력이 거듭돼야 할 것이다.

다행히도 정부는 그 노력의 첫 걸음으로 지방대와 전문대학 육성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를 둘러싼 실효성 논란, 역차별 논란 등이 끊이지 않고 있어 우려스럽다. 부디 정부는 대학들의 의견을 지혜롭게 조율하고 수렴해 완성도 높은 정책을 실행해주길 바란다. 대학들의 소망처럼 정부 육성방안이 구성원 스스로가 자랑스러워하고 편견 없이 가치를 인정받는 지방대와 전문대학을 만드는 시작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