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대구 계명대에서는 교육부 후원 ‘제6차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 ACE대학 포럼’이 열렸다. 포럼에는 전국 40개 대학, 교육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전체 25개 ACE 대학 중 16개 대학 총장이 직접 참석해 세션별 주제발표와 토론에 참여했다. 그런데 이날 오전부터 열린 ACE대학 이사회와 주제발표, 대토론회 내내 ‘과연 ACE 대학 사업이 지속이 될 것인가’와 ‘예년 수준의 예산이라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에 모든 관심이 집중됐다.

다양한 학부교육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 시작된 ACE사업은 지난 2010년 시작됐다. 기존의 일류대가 아닌 ‘잘 가르치는 대학’을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는 이 사업은 출범 3~4년차를 맞으면서 학부교육 혁신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ACE대학에서 나타난 성과는 함축적으로 ‘학생들의 진로와 삶을 바꾸었다’고 표현할 수 있다.

올해로 1차년도 선정 11개 대학에 대한 지원이 마무리된다. 그런데 교육부는 아직 이들 대학에 대한 계속 지원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이들 대학의 속을 태우고 있다. 이들 11개 대학 지원이 모두 유지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제 막 1차년도 선정 ACE대학들이 학부교육에서 의미 있는 성과들을 거두고 있다는 점에서 4년 만에 지원이 종료되는 것은 안타깝고 비효율적이라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매년 600억원 정도 규모로 지원되던 예산이 올해 400억원 규모로 줄어들 것이라는 교육부의 계획이 알려지자 ACE대학들은 낙심하는 분위기다.

정부가 BK21사업, LINC사업, 교육역량강화사업, 국가장학금 지원 등 대학재정 지원을 위해 쏟아 붇는 예산은 자그마치 6조5000억원 수준. 여기에 고작 연간 600억원 정도 지원되는 ACE사업에 대해 예산을 50%나 삭감하고자 하는 것은 ACE사업을 일회성 이벤트로 추진했다는 얘기밖에 안 된다.

ACE대학 관계자들은 “현재 4년 지원 시스템은 지나치게 단기적인 구조로 대학교육의 체질변화를 담보하기 어렵다. 사업내용의 교육기간을 고려해 4+4시스템 등 대안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ACE사업 선정대학들이 국내 대학의 학부교육 선진화를 이끌어 가는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 줘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여기에 신규대학 진입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드높다. 이왕에 정부가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을 선정한다면 그 수는 많으면 많을수록 대학교육의 질은 향상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ACE 대학들은 교육부와 예산당국인 기획재정부, 국회에 ACE사업의 지속성 보장에 대해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다만 행여라도 여느 정부 재정지원 사업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재정지원을 받기위해 교육의 질 향상에 대한 정밀한 프로그램 없이 ACE 대학 유지와 선정에만 매달릴 경우 ACE사업의 미래는 담보할 수 없다는 점을 ACE대학들은 깨달아야 한다.

이와 함께 정부의 정량평가에 매몰돼 줄서기에만 나서지 말고 대학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ACE사업에 대해 사회적으로도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학부교육 선진화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꾸준히 형성하고 사회적 책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래야 ACE사업이 유지 발전 될 명분이 생기는 것이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