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신나리 기자] 대화 중간 깊은 한숨이 새어 나온다. 지방대 관계자를 만나면 공통으로 발견하게 되는 현상 중 하나다. 지방대가 처한 상황을 설명하자니 한숨이 앞선다는 게 그들의 말이다.

현재 대학들이 고심 중인 등록금 문제만 해도 그렇다. 교육부는 올해 대학 등록금 인상 상한선을 3.8%로 제시했다. 하지만 등록금을 인상하는 대학은 국가장학금 배정 등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사실상 올리지 말라는 엄포다.

그러나 지방대의 등록금은 어떠한가. 전남에 위치한 모 대학의 경우 등록금이 가장 비싸다는 이공계열 학기당 등록금이 수년째 350만 원이다. 수도권 유명 사립대의 이공계열 등록금은 450만 원 정도다. 100만 원의 차이다. 등록금을 올릴 수 없는 현실은 둘 다 같지만 받을 수 있는 금액에는 큰 차이가 있다.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의 현실을 감안한 정책이 필요한 이유다.

정부의 대학구조개혁도 지방대의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 학령인구 감소로 정부는 대대적인 대학구조개혁을 진행하고 있고 앞으로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가 2011년부터 추진해온 재정지원제한대학 지정에서는 핵심 지표로 ‘취업률’을 반영하고 있다. 그 때문에 지방대들은 취업률을 놓고 목숨을 건 전쟁을 치르고 있다.

“기자님, 여기까지 오시면서 죽 둘러보셨죠? 여기에 뭐가 있습니까. 아무것도 없습니다. 영세기업 몇 군데와 제조업이 있는데 대학 나온 애들이 그곳에 취직하려 들지 않습니다. 그런데 취업을 못 시키면 학교는 죽어 나갈게 뻔한데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취업을 시켜야 하는 상황과 취업시킬 곳이 마땅치 않은 현실. 산업구조 기반이 취약한 지방은 난감하다. 왜 취업시키지 못하느냐고 뭇매를 때리기 전에 서울을 중심으로 편성된 사회와 산업구조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취업률을 일정한 수준만 넘으면 되는 절대평가로 해야 한다는 주장도 새겨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이 ‘South Korea’가 아니라 ‘Seoul Korea’라는 말이 있잖아요. 그게 딱 맞는 말”이라던 지방대 한 보직교수의 말이 귓가를 맴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