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이재 기자] 최근 한 국회 관계자는 ‘취업후학자금상환(ICL)특별법’에서 대학원생에게 든든학자금을 허용하는 안은 빠질 것이라고 귀뜸했다. 여야의 합의가 어렵다는 것이다. 현재 대학원생은 취업후학자금상환제도를 이용하지 못한 채 일반학자금 대출만 이용하고 있다. 상환시기가 빨라 고액의 등록금을 납부하는 대학원생의 부담이 크다.

학자금 외에도 대학원생의 고충은 많다. 경제적 활동이 봉쇄돼 있어 늘 부모에게 손을 벌려야 하는 것도 곤혹스럽다. 웬만한 회사원보다 바빠서 친구들 모임에 빠지기 일쑤다. 이공계 대학원생은 ‘랩실(Lab, 연구실)’에 가는 것을 ‘출근’한다고 표현한다. 학부생 이상으로 불안한 미래도 이들의 고개를 떨구게 한다.

사회는 대학원생을 고운 시선으로 보지 않는다. 고액의 등록금을 내고 대학원을 다니는 대학원생이 뭐가 아쉬울 것이 있냐는 것이다. 최근 대학원생의 인권피해 사례가 자주 언급됐으나 여전히 ‘취업 도피자’로 바라보는 시각이 남아있다. 국내 대학원생 규모는 매년 늘어 현재는 33만명으로 추산된다. 이들 모두가 취업 도피자일까.

대학원생은 다양한 형태로 대학가를 이끌어 왔다. 대학의 행정력을 보조하는 행정조교로 모든 학과사무실에 파견돼 있다. 이들이 받는 것은 장학금이 전부다. 또 연구조교로 대학의 연구력을 뒷받침한다. 규모의 평가가 주를 이루는 대학평가에서 대학원생의 규모와 질은 대학이 받는 정부재정지원의 규모를 결정해왔다. 최근엔 대학의 재정에도 기여하고 있다. 학부등록금 인상이 어려워진 대학들이 너도나도 대학원등록금을 인상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노골적이다. 한 사립대는 “교직원의 임금 자연인상분을 메꿔야 한다”고 인상이유를 설명했다. 이 대학원은 최근 연구수료생 제도를 개선해 매학기 연구수료비를 걷기로 했다. 논문심사비는 당연히 별도다.

이같은 때 고려대 총학생회가 대학원생의 연구환경개선투쟁을 선언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것은 고무적이다. 비록 전체 대학원생의 상황을 점검하진 못하겠지만 대학원생의 연구환경이 개선되고 경제적 권리를 찾으려는 움직임을 보인 첫 날로 기록될 것이다. 물론 걸림돌은 있다. 무엇보다 대학원생 스스로가 누군지 알아야 한다. 한 교육단체의 지적처럼 석사입학생과 시간강사 신분의 박사수료생을 동등하게 놓고 볼 수는 없는 일이다. 이들 사이의 위상을 정립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