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청와대서 열린 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공대혁신안’ 강조

[한국대학신문 최성욱 기자] 정부가 공과대학(공대) 혁신을 창조경제의 밑바탕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장 대통령, 자문회의)는 10일 오전 10시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8차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자문위원과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부처 장관을 비롯해 경제계·금융계·대학·기술사업화 관계자 등 각계 인사 18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공대 혁신방안 등 3개 안건을 보고하고 이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공과대학의 문제점 진단과 혁신방향’은 이준식 공대혁신위원회 위원장(서울대 연구부총장)과 권동일 자문회의 위원(서울대 교수)이 발표했다. 이들은 지난해 공대 졸업생 수가 6만9000명으로 OECD 최고 수준이지만 졸업 후 전공지식과 실무능력, 기업현장 적응능력 등이 모두 부족하다는 산업계의 지적을 언급하며 공대교육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대혁신위원회를 비롯한 교수들은 이 같은 문제의 원인으로 주요 재정지원사업과 교수평가가 SCI 논문 중심으로 이루어지다보니 교수들이 논문 중심으로 교육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꼽았다. 교수 임용도 논문 실적위주로 이뤄지다보니 현장 감각이 있는 교수가 부족해 대학과 산업현장 사이의 괴리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권동일 위원은 “대학 재정지원사업 평가에 실용적 지표를 대폭 강화하고 산학협력·교육활동도 공정하게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개편해야한다”며 “교육·연구 개선으로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공대혁신위의 이준식 위원장도 “재정지원사업 평가가 보다 실용적으로 개선되면 교수평가가 이에 뒤따를 것이고 교육·연구의 현장지향성 강화로 연결될 수 있다”며 “미래성장을 이끄는 창의적 공학인재가 양성돼 공대가 제 역할을 다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자문회의에서는 공대를 비롯한 교육·연구기관의 기술을 상용화할 방안에 대한 논의도 나왔다. ‘기술출자기업 활성화 방안’을 보고한 신성철 위원(DGIST 총장)은 “1960년대 이후 눈부신 과학성장을 이뤘으나 양적성장에 그쳤을 뿐 독자적으로 개발한 지식과 기술로 인한 경제효과는 세계 39위에 그치고 있다”며 기술상용화로 이어질 복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기술과 민간기업의 경영 인프라를 결합시켜 ‘기술출자기업’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했다. 우수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하고, 수익을 기술개발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일이 급하다는 말이다. 이는 공공연구기관의 경우 보유기술을 출자하고 기업은 자본을 출자해 공동기업을 설립해 양 기관이 시너지효과를 내는 방식이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지식재산(IP)·기술에 대한 ‘시장주도 개방형 가치평가 체제 구축방안’을 부처들을 대표해 보고했다. 이번 방안에는 기존 보증 중심의 평가체제를 금융권과의 협업체계를 갖추는 데 주력할 수 있도록 바꿔나갈 계획을 담았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