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백수현 기자] 특성화사업 접수가 마감됐다. “이제 ‘특성화’라는 말만 들어도 매스꺼울 정도다”라는 어느 대학 관계자의 말은 비단 한 개인의 생각만은 아닐 것이다.

특히 ‘생사(生死)를 걸었다’는 표현을 거침없이 쓸 정도로 특성화사업에 대학 운명을 건 전문대학들의 경우는 더하다. 한 전문대 관계자는 “4년제 대학에 비해 전문대는 인력이 상당히 부족하다. 부서별 업무 분담도 체계적이지 않아 개인이 감당해야할 업무량이 장난이 아니다. 우리끼리는 누구하나 죽어나가야 우리가 일 많이 한다는 걸 믿어줄 것 같다고 말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한 수도권지역 전문대 총장은 개인 블로그를 통해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사업계획서를 오늘 제출한다. 분량은 본 계획 100쪽, 별첨자료 130쪽, 증빙자료 2850쪽의 방대한 양이다. 전국 139개 전문대학중 우리 대학의 사업계획서가 최고 수준일 거라고 자부한다.​ 교육당국의 지침을 따르다보니 분량이 엄청나다. 쌍팔년도식 이런 분량의 계획서를 ‘도대체 왜?’하는 의문도 든다. 심사위원들 고생이 많겠다”고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사업진행 과정이 100% 이해되지는 않지만 대학 운명이 걸린 일이니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는 대학들의 ‘웃픈(‘웃기다’와 ‘슬프다’의 합성어)’ 현실이 잘 반영된 소감이다.

일단 서류제출이 마감되며 수많은 밤을 낮처럼 지새운 대학 관계자들은 이제 겨우 한 숨 돌릴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대학 관계자들의 휴식은 정말 딱 ‘한 숨’에 지나지 않을 듯하다. 전문대의 경우 자료는 제출했지만 그 안에 명문화한 예산, NCS(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정원감축 등 수많은 계획들을 실행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정원감축’에 관련한 대학가의 움직임은 더 활발해질 듯하다. 4년제 대학들의 경우 서울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최소 감축 비율인 4%를, 지방대는 7~10% 정원 감축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대학들의 경우도 가산점 3점을 받을 수 있는 정원 7% 감축(2016년까지)이 현실화되고 있다. 차이는 있지만 많은 전문대들이 내년 3%, 내후년 4% 줄이기 위한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진통(陣痛)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도 되지 않았다. 제3자이지만 완전한 타인일 수 없는 기자가 앞서 언급한 한 총장의 말을 빌려 대학인들에게 한마디하고 싶다. “우리 대학인들 참 고생이 많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