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교수 잇단 성명발표에 이어 교수단체 긴급토론회

▲ 세월호 대참사-교수단체 긴급 공동 토론회에서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대학신문 차현아 기자] “세월호 대참사의 명백한 진상 규명과 신자유주의 하의 비리 척결이 필요하다.”

15일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와 전국교수노동조합,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등 교수단체에서 주최한 ‘세월호 대참사-교수단체 긴급 공동 토론회’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이같이 목소리를 모았다.

토론자들은 공통적으로 세월호 참사의 철저한 진상조사를 촉구했고 이번 참사가 한국사회 신자유주의라는 구조에 기인했다고 진단했다.

이도흠 한양대 교수는 “세월호 참사는 한국사회가 야만을 넘어 짐승들의 집단으로 변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국 사회 상층부 1%가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공감 능력과 도덕성을 잃고 돈과 효율만을 좇았다고 그는 강조 했다. 그는 "이번 세월호 참사 희생자 및 유가족들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을 넘어서 신자유주의 체제의 야만적인 자본과 부패의 카르텔까지도 해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성태 상지대 교수는 한국 사회를 ‘비리․사고사회’라고 꼬집었다. 세월호 참사는 기술과 제도가 없어서가 아니라, 이미 있는 제도와 기술이 기득권의 비리 때문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홍 교수는 “청와대와 국정원이 이번 참사와 관련한 정보를 다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진상규명을 먼저 하지 않는다면 스스로 비리세력임을 입증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한국 언론들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정수영 성균관대 교수는 언론 역시 비리문제 등에 직․간접적으로 조력했다고 비판했다. 세월호 참사 전후 언론은 정부와 기업이 제공하는 보도자료에만 의존하는 ‘받아쓰기 저널리즘’에 그쳤다고 비난했다. 정 교수는 “이번 세월호 사건을 통해 언론들이 윤리성을 어떻게 지킬 것인지 철저히 반성하고 고민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곧 월드컵과 아시아게임이 시작되면서 일상으로 돌아가 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세월호의 죽음이 우리 사회의 일상적인 죽음과 맞닿아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권영숙 서울대 교수는  “비정규직으로 근무한 선장에게 정규직 이상의 높은 책임의식을 기대할 수 없지 않느냐”며 “이처럼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노동 불안정성은 사회 전체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졌다”고 짚었다. 세월호의 죽음은 한국 사회의 보편적인 죽음의 단면이며, 비용의 문제로 묵인된 안전의식이 부재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토론에서는 세월호 참사로 드러난 한국 사회의 문제를 가만히 지켜보고만 있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박주민 사무차장은 “실제로 만나 본 세월호 유가족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기를 원했다”면서도, “자신들이 정치적 의도를 지닌 것처럼 비칠까봐 상당히 두려워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처럼 국민들도 할 말은 하는 정치의 필요성은 느끼면서도 정치적 악용 자체를 극도로 두려워 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을 제시했다.

지난 4월 29일 청와대 홈페이지에 ‘가만히 있으라’ 운동을 제안했던 경희대생 용혜인(정치외교 4)씨도 이날 토론회에 참석해 “‘가만히 있으라’라는 문장이 한국 사회의 문제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시작한 이 운동이 모임 당일 250명의 사람들을 모을 수 있었던 이유도 사람들이 이런 사회를 만든 것에 대한 미안함과 더 이상 두고 봐서는 안 된다는 공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