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이재 기자] 지방선거가 막바지에 달했다. 세월호 참사로 국가 전체가 슬픔에 빠지면서 후보들도 조용한 선거를 다짐했다. 앰프와 확성기가 사라지고 선거운동원과 몰려다니는 후보도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율동과 노래 등 떠들썩한 선거운동이 사라지자 덩달아 대학생도 선거에서 사라졌다.

그간 대학생의 선거참여는 논란을 낳았다. 후보의 옆에 서서 웃고 노래하고 춤추는 역할에 그쳐왔다. 청년취업과 대학생문제를 해결하겠다며 대학생을 선거운동원으로 내세웠지만 정작 이뤄진 정책은 없다. 그간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후보들의 공약만 수백 가지다. 그러나 여전히 청년들은 부족한 일자리에, 대학생들은 과도한 학비에 시달리고 있다. 남은 것은 동원 당했다는 멍에 뿐이다.

이번 선거에서도 각 정당은 청년취업과 고등교육 문제를 해결할 공약을 내놨다. 그러나 청년일자리를 더 만들고 등록금 부담을 경감하겠다는 선언에 그쳐 실망스러운 수준이다.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서 해결할 수 있는 청년과 대학생의 주거문제도 공공기숙사 확충과 같은 기성 담론의 재탕에 불과했다.

현재 원내 4개 정당은 청년·대학생의 목소리를 듣겠다며 청년·대학생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위원회의 위상과 규모는 각기 다르다. 이들 조직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번 지방선거에 참여하고 있다. 이 조직들이 모두 개발한 정책을 당론이나 당의 정책에 포함시키는 데 난항을 겪는다. 이들은 주로 기성 정치인들과 수직적인 상하관계에 놓였거나, 그들에 비해 규모가 작거나, 아니면 너무 어리다는 비난에 시달렸다.

'선거용'이라는 오명도 뒤집어썼다. 야당의 한 대학생위원장은 "지방선거에 참가한 후보들은 대학생위원회에 속한 대학생을 알음알음 선거에 동원했다. 주로 캠프 내에 '얼굴'이 되길 바라거나 인맥을 활용하기 위해서다"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오히려 선거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다. 적극적으로 선거를 지원해 당내 입지를 다져야 한다는 논리다. 그렇지 않고 지금처럼 기성정치인들에게 기대 캠프에 한자리씩 꿰차고 앉는 식의 정계진출은 청년과 대학생에게 '독'이라는 주장이다.

모 정당의 청년·대학생위원장은 "정당조직이라면 당의 승리를 위해 좋은 정책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선거유세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야합에 가까운 대학생 동원을 차단하고 이 같은 방식의 대학생 선거참여가 독려돼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