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무산...특성화로 제갈길 모색

지난 99년 대학간 통합을 추진했던 강릉대와 삼척대는 논의가 무산된 이후 통합을 통한 대학의 체질개선 등 구조조정의 실효성에 의문을 품게 된 경우다. 국립 일반대인 강릉대와 국립 산업대인 삼척대는 대입정원 역전 현상 등 다가올 대학 위기에 대비해 지난 99년 양 대학간 통합을 추진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발과 통합안에 대한 의견 접근에 실패했다. 언론과 주민들의 높은 관심 속에 양 대학은 통합추진위원회를 발족해 1년여 동안 대학 구성원 및 지역의 여론을 모아 수차례 회담을 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했으나 대학과 지역사회의 이해관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양 대학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들 대학의 통합이 무산된 이유는 ‘대학 본부를 어디에 두느냐’에 대한 의견 차와 실현 의지의 차이였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밖에도 행정구역상 양 대학이 각각 다른 시에 속해 있었고, 그 사이에 ‘동해시’라는 별도의 지역을 끼고 있다는 점에서 지리적, 행정적인 여건도 따라주지 못했던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통합 이후에 대학 본부를 어느 쪽에 둘 것이냐는 문제를 두고 일었던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강력했다. 해당 대학들이 지역의 ‘자존심’으로 통하는 분위기에서 본부의 존재는 지역의 자존심 문제이기도 했던 데다가, 대학 통합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지역경제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크게 작용했다. 이런 과정을 겪으면서 강릉대와 삼척대는 모두 대학간 통합을 통한 위기 극복에 뜻을 버리고 개별적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강릉대는 내부적으로 지역 내 전문대학과 통합하자는 제안이 있었지만 고려는 않고 있다. 오히려 통합을 통한 대학의 체질개선을 바라보는 시선은 부정적이다. 이철 강릉대 기획연구처장은 “부실기업 두 개를 붙여 놓는다고 해서 구조조정이 되는 게 아니잖느냐”며 “방만한 기존의 조직을 그대로 둔 채로 통합 해봐야 아무런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처장은 인적 청산 및 인력 전환 방안 모색이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삼척대는 독자적으로 캠퍼스 확장과 특성화를 통해 승부를 걸겠다는 심산이다. 장윤호 기획처장은 “강원 남부지역의 명실상부한 국립대로 거듭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 처장에 따르면 삼척대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방재기술대학원을 올해 첫 설립했으며, 폐광지역인 삼척시 도계읍에 15만여평 규모의 제2캠퍼스 조성을 추진 중이다. 특히 삼척대의 2캠퍼스 설립계획은 산업자원부의 폐광지역개발사업과도 맞물려 1천2백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산자부로부터 지원받게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