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대협, 10·11일 워크숍 "미래 대안대학으로 발전 위한 지혜 필요"

▲ ‘원대협발전기획위원회 산하 분과위원 워크숍’이 10·11일 충남 보령 비체팰리스에서 열렸다. 원격대학협의회가 주최해 열린 이날 워크숍은 원대협 발전기획위원회 산하에 신설된 5개 분과위원회의 발족을 기념해 개최됐다. 분과위원회는 △평가분과위원회 △특성화분과위원회 △사이버대학홍보분과위원회 △원대협 관련법 통과준비TFT △사이버대학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환류프로젝트TFT 등이다.
[한국대학신문 이현진 기자] “최근 사이버대를 위협하는 요인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 요인들을 극복해 미래 대안대학으로 발전해나가기 위해서는 그 어느때보다 지혜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박영규 원격대학협의회(원대협) 회장(국제사이버대 총장)이 10일 충남 보령 비체팰리스에서 열린 ‘원대협발전기획위원회 산하 분과위원 워크숍’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박 회장은 “사이버대는 지난 13년동안 급성장해왔다. 그러나 최근 오프라인 대학의 온라인 시장 확대와 사이버대에 대한 견제, 정부 지원 미비·사이버대 인식 부족 등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 나가고 앞으로 지속가능한 대학으로 발전해나가기 위해서 힘을 합치자”고 독려했다.

■ ‘사이버대 발전 이끌’ 5개 위원회 발족 = 이날 워크숍은 원대협 발전기획위원회 산하에 신설된 5개 분과위원회의 발족을 기념해 개최됐다. 워크숍에는 박영규 회장이 참석해 각 분과위원회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분과위원회는 △평가분과위원회 △특성화분과위원회(사이버교육기획분과위원회) △사이버대학홍보분과위원회 △원대협 관련법 통과준비TFT △사이버대학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환류프로젝트TFT 등으로 나뉘어 구성됐다. 각 위원회별로 관련 문제를 공동으로 대처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각 위원회는 6명씩 꾸려졌으며 행정직원을 비롯해 교수·처장·부총장 등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했다.

기획발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윤병국 경희사이버대 교수는 “지금까지는 외부의 정책을 수용할 것인지 판단·결정하는데 그쳤지만 이제는 우리 스스로가 정책 개발을 주도해야한다”며 “우리에게 불합리한 규제로 작용하는 것은 과감히 철폐를 요구하고 좋은 정책은 제안하며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영철 원대협 사무국장도 “사이버대 앞에 산제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대협 차원을 넘어 전국 사이버대 구성원의 협조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사이버대가 뭉쳐야 하는 이유는 ‘산제된 문제들’ = 이날 워크숍에서 관계자들은 사이버대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촉발된 여러 가지 문제점과 우려를 쏟아냈다.

이들은 교육부에 대한 서운한 감정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교육부가 지난 3일 공고한 ‘2014 평생학습 중심대학 육성사업’에서 사이버대가 제외된 점이 도마위에 올랐다. 교육부가 평생교육 역량을 제고하고 성인계속교육대학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이 사업에서 사이버대를 제외했기 때문이다.

사이버대는 고등교육법상 ‘대학’으로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의 각종 시행사업에서는 제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번 사업의 목적은 ‘성인들의 평생교육과 직장인 재교육’이라는 사이버대의 설립목적과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에 사이버대 관계자들의 서운함은 더하다.

워크숍에 참가한 한 사이버대 교수는 “교육부가 이번 사업을 통해 전문대학에 평생교육을 할 수 있도록 강화하고 전문대학을 NCS 전문대학과 평생교육 전문대학으로 나누겠다고 한다”며 “사이버대가 고등교육법상 대학이라는 이유로 규제는 강화하고 오히려 지원은 박하다”고 토로했다.

지난 4월 입법예고된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 53조 제8항 개정안도 지적대상이 됐다. 개정안은 시간제등록생 선발규모를 기존 ‘편제정원 50% 범위 이내’에서 ‘총 입학정원의 10% 이내’로 제한해 과다모집을 방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이버대 관계자들은 “재정수입의 급격한 감소가 대학 존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실태조사를 통해 시행령의 개정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인 조치”라는 입장이다.

사이버대 관계자들은 이 밖에도 △전세계적으로 확산대고 있는 MOOC 열풍의 대응책 △원격대학협의회법 재정 △각종 국가고시 응시 자격에서 사이버대 졸업생 제외 △교육부 지원 확대 등을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로 꼽았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