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과학계,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인재 양성 위해 꼭 필요”

“현실적인 논의 부족했다” 지적도

[한국대학신문 이재익 기자]  소프트웨어 교육 등 정보과학 교과를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정규독립교과로 만들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IT강국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해 시대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해야한다는 것이다. 시범학교 등을 운영해 2018년 교육과정 개정 전에 시범운영을 해보자는 의견도 나왔다. 교육부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수업시수나 대학 컴퓨터교육학과에서의 교육자 확보에 대한 현실적인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들도 나왔다.

‘창조경제 시대의 정보과학 교육 정책 방향’이라는 제목으로 열린 정책토론회가 16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렸다. 국회과학기술혁신포럼이 주최, 한국정보기술학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이 된 이번 토론회는 컴퓨터공학 관련 교수, 관련 분야 기업인 등 정보과학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

토론 발제에서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장은 “산업 경제에서 디지털 경제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에 정보과학 교과가 보편 교육 과목으로 들어가야 국제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창윤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인재정책과장은 “10년, 20년 뒤 세상을 살아가는 아이들이 가져야 할 능력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의 창의성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한다. 초등교육부터 지속적으로 소프트웨어적 사고기반이 확립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프트웨어적 사고기반은 정보과학적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말한다.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 능력으로 △큰 문제를 작게 나눠 생각 △중요한 것부터 해결 △단계적 전략 개발 등이다.

이에 남부호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장은 “반영하는 쪽으로 검토하겠다”며 적극적 반영을 시사했다. 다만 체계적인 정보교과가 되기 위해서는 시범학교 등으로 적합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대학 입시, 시수 조정 등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도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학 교육의 현실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서정연 서강대 교수(컴퓨터공학)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1학년 때 처음으로 접하는 과목이라서 집중력들이 최악이다. 전공 졸업생들도 프로그래밍에 자신이 없고 다른 전공자들은 프로그램이 무엇인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김인석 고려대 교수(정보보호대학원)는 “정보보안 분야가 각광을 받지만 3D직업이라는 인식이 있다. 디지털 경제 관점에서 컴퓨터는 보편적 역량을 배우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참석자 간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다. 이효건 삼성전자 부사장은 “경쟁력 있는 인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조기교육을 받아야 한다. 기업이 원하는 것은 인재이며 그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저변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화수 전자신문 논설실장은 “소프트웨어 교육은 프로그래밍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습관을 디지털화하는 것”이라며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쉽고 재미있게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외에도 김현주 IT여성기업인협회장은 “교육적 측면에서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초‧중등 교육만이 아니라 평생교육 관점에서 생각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최대훈 어립이집연합회 총무이사는 “가정에서는 정보과학을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더욱 보편화된 방법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자유토론에서도 여러 의견들이 나왔다. 김동윤 아주대 교수(정보및컴퓨터공학부)는 “정보과학회장을 하던 2006년 당시 교육과정개편을 통해 지금 논의된 부분들을 교육과정에 집어넣었지만 오히려 가르칠 선생님들이 없어 정보과학을 선택했던 비율이 5분의 1로 줄었던 적이 있다. 가르칠 사람들이 누가 될 것이고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생각해야 할 것”이라 지적했다. 최성 남서울대 교수(컴퓨터공학부)는 “대학에서도 쓰지 못할 정도로 교재들이 어렵다. 지금 게임 소프트웨어 분야에 인재들이 많은 이유는 그래도 재미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단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A씨(컴퓨터교육3)는 “시수 조정이나 교육자 확보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는 이상 ICT(정보통신기술)교육강화는 탁상공론이 될 수밖에 없다. 성급하게 말만 던졌다는 느낌도 든다”고 지적했다. 또한 “적성과 맞지 않아 힘들어하는 친구들도 많았다. 고등학교 때라도 관심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이 이뤄지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