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최저 완화와 논술전형 우선선발 폐지로 ‘수능 영향력’ 줄어

“아는 만큼 유리”…전형별 졸업년도 제한, 복수지원 허용도 체크

[한국대학신문 이우희 기자] 수시 원서접수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입시의 가장 큰 특징은 대입전형의 간소화 및 수시 모집인원의 감소다. 수천개에 달하는 개별 전형의 숫자는 그대로라는 반론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수시는 학생부 정시는 수능 위주로 전형유형을 간소화하는 것은 분명한 흐름이 됐다. 실제 수시는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대학별고사(논술), 실기위주 총 4개 유형으로 구분해 표시하도록 의무화했고, 정시는 수능과 실기 2가지 유형으로 제한했다.

대교협의 ‘201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에 따르면 올해 수시모집 인원은 전체의 64.2%인 24만3333명으로, 전년도 25만1220명(66.2%)에 비해 7887명(약 2%) 감소했다. 반대로 정시 모집인원은 13만5774명으로 전년도보다 7480명 더 선발한다. 이는 2011학년도 처음으로 수시 모집인원이 전체의 60%를 넘어선 이후 계속된 상승곡선이 처음으로 꺾인 것이다.

그러나 수시의 중요성은 여전히 정시를 압도한다. 모집인원이 정시의 두 배에 달하는 것은 물론이고, 수능 성적을 중요하게 반영했던 ‘꼼수 전형’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당장 올해부터는 논술전형에서 일반적으로 운영했던 수능 우선선발이 폐지됐다. 지난해까지는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이 이름은 논술전형이지만 실제로는 수능 성적이 높으면 우선선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시 각 전형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높게 설정해 사실상 수능성적이 당락을 결정짓는 불합리한 구조도 해소됐다. 한양대가 수시 모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폐지한 것을 필두로 상위권 대학 대부분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다소 완화한 것이다. 결국 ‘공부만’ 잘하는 학생이 수시에서 누리던 이점이 상당부분 희석되면서, 수시에 지원하는 수험생이라면 누구라도 학생부와 면접, 자기소개서 등에 대한 ‘수시 맞춤형’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수시에서 허수지원이 줄어들면서 실질 경쟁률은 오를 것이라는 예상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수시모집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상황에서, 예년과 달리 지원해 놓고 수시를 포기하는 학생들이 속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논리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전년과 유사한 정도로 지원을 한다면 실질 경쟁률은 약간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다. 다만 전형 유형별로 지원율의 등락이 널뛰기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시 일정의 변화도 중요한 체크포인트다. 2014학년도에는 수시에서 원서접수가 9월과 수능 직후인 11월에 총 2번에 걸쳐 시행됐다. 일반적으로 11월 수능 이후에 원서접수를 하는 대학은 중상위권 대학의 학생부 중심전형이 많았으며 대부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수시에서 모든 대학의 원서접수 기간이 9월 6일에서 18일로 일괄 시행한다.

올해는 자기소개서 작성 시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교육부가 학생부종합전형에 한해 자기소개서 작성 시 외부 스펙을 기재하면 ‘0’점 처리한다는 강력한 규제책을 발표했기 때문. 하지만 학생을 선발해야할 대학부터 명확한 ‘0’점 처리 규정을 알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분위기다. 구체적인 스펙 명칭만 쓰지 않으면 얼마든지 스펙을 자랑할 수 있다는 ‘꼼수 전략’도 벌써부터 들려온다. 올해 입시는 정부의 자기소개서 스펙기재 금지 정책이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여부를 판가름할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전망이다.

수시 이후에는 정시가 남아있다. 모집인원은 수시의 절반 수준이지만, 정시는 수시에 비해 훨씬 간결한 ‘수능중심’ 입시다. 따라서 수시준비에 치여 11월 수능 준비까지 포기하는 것은 ‘도박’이나 마찬가지다. 수시모집 지원 횟수는 6회로 제한돼 있다. 당장 오는 9월 3일 치러질 모의고사 결과는 실제 수능에 응시하는 재학생과 재수생이 거의 모두 참가하기 때문에, 응시자 전체 인원 중 자신의 객관적인 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이다. 여름방학은 차분하게 과목별 학습상황을 최종 점검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점을 명심하자.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