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양지원 기자] 박근혜정부의 전문대학 육성방안은 그 어느 정권보다 전문대학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표명한다. 이 시기를 적극 활용하면 전문대학은 정부 정책을 발판 삼아 도약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넘어야할 산도  여럿이다.

지난 6월 76개 전문대학이 특성화 사업에, 14개 사업단이 세계로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해당 대학들은 정부 예산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됐다. 정부가 지역사회·산업과 연계한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으로 매년 15만 명 이상의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보인 것이다. 하지만 일부에선 "객관적으로 발전 가능성이 미진한 대학들이 너도나도 예산 지원을 위해 ‘전력투구’에 나서면서 이들도 선정대상에 포함됐다"며 우려도 나온다. 정부가 원하는 방향대로 맞춰 사업 준비만 하면 지원을 해 주는 방식은 제대로 미래를 준비하며 힘을 쏟고 있는 대학들의 입장에선 솔직히 아쉽다는 반응이다.

Ⅳ유형인 평생직업교육대학 특성화 선정 6개교의 경우 다른 유형보다 약 보름 뒤인 지난달 말 연간지원액 규모를 개별 통보 받았다. 사업이 익숙지 않아 대학가 역시 여러 가지로 혼선을 빚고 있다. Ⅳ유형에 선정된 한 전문대학 관계자는 “특성화 지원예산이 예상보다 낮아 당황스럽긴 했지만 첫 시행 사업아니냐”면서 “더 많은 지원이 우수한 대학들에게 돌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박창식 새누리당 국회의원이 발의한 △학위과정 및 수업연한 다양화 △산업기술명장 대학원 과정 도입 법안의 경우, 지난해 국회통과를 예상했지만 여전히 계류 상태다.

여·야간 딱히 이견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법안 통과가 연기되면서 대학가는 끝도 없는 기다린 탓에 지친 기색이 역력하다.

일단 정부가 전문대학 살리기에 나선 것만은 자명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투영시키고 적극적으로 실현시켜야 할 전문대학가는 지금이 기회다. 아쉬움도 있을 것이고 답답한 부분도 있을 수 있다.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과 관심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관련 모든 기관·부처가 힘을 모아 대학 발전을 위해 유리한 전략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