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연세대 대강당서 평화나비 주최 토론회

▲ 연세대 대강당에서 열린 '대학생 평화회담'에서 한국, 재일조선인, 일본 대학생 대표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차현아 기자)

[한국대학신문 차현아 기자] 한국, 재일조선인, 그리고 일본 대학생이 한 자리에 모여 동아시아의 평화를 외쳤다.

14일 오후 2시부터 연세대 대강당에서 대학생 동아리네트워크 평화나비가 주최한 ‘대학생 평화회담’에서는 한국, 일본, 재일조선인 대학생들이 모여 ‘청춘, 평화로 통하다’를 주제로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평화회담은 한국과 일본, 재일조선인 측 대표 대학생들이 역사와 평화에 대한 주제로 각자 발언을 한 후 그에 대한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제2부에서 진행된 토크콘서트에서는 대표 대학생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서로의 공통분모를 찾아나가는 시간으로 구성됐다.

한국 대학생 대표인 이화여대 이해지(사학1)씨는 한국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이유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청산되지 못한 과거들을 안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해방 직후 친일파를 적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반민족특별조사위원회는 해체됐다. 1965년 일본으로부터 받은 피해에 대해 개개인이 배상을 청구할 수 없도록 만든 한일협정도 역사청산을 좌절시켰다”고 설명했다.

재일조선인 대표 대학생인 오사카대학 류우자씨는 일본 우경화 바람이 조선학교에 대한 탄압으로 이어지고 있는 현실을 고발했다. 류씨는 “일본 내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무상교육 대상이지만, 일본에서는 북한과 일본과의 관계나 교육내용 등을 빌미로 조선학교에 교육비를 지원하지 않으려는 움직임이 있다. 또한 수업 중인 조선학교 앞에서 ‘조선학교를 내쫓자’는 증오 연설을 하는 시위가 연일 벌어진다”고 말했다.

일본 대학생 대표인 미사키 마리씨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대한 현재 국민의 여론과 향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실제로 일본 내 여론은 평화헌법 개정에 대해 그리 우호적이지 않다”면서도 “일본 젊은이들 사이에선 중국과 북한의 위협에 대해 무력을 갖춰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일본 헌법 9조가 표명하는 전쟁 포기는 아시아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준 것에 대한 일본 스스로의 반성의 산물이다. 쉽게 개정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발제한 내용에 대해 각 대학생 대표들은 지지발언을 덧붙였다. 한국 대학생 대표는 재일조선인 대학생들에게 “재일조선인 학생들이 처한 현실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재일 조선인 학생들이 학교에서 민족 정체성을 갖고 공부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더 나은 동아시아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재일조선인 대학생은 일본인 대학생의 의견에 공감을 표했다. “일본 내 역사왜곡과 집단적 자위권 문제는 재일조선인 입장에서도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로 가고 있는 일본에 대해 국가와 민족을 넘어 함께 위기감을 공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대학생 대표는 한국 대학생 대표의 발언에 대해 “여전히 역사청산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한국의 상황에 대해 일본 대표로서 역사적 책임을 느낀다. 일본 내에서도 교과서왜곡 논란이 있었다. 한일 양국이 역사왜곡에 저항하는 의미에서 공동 역사교과서를 펴내면 화해의 시작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행사 후 발표된 평화선언문에서 세 대학생 대표들은 “대학생들은 항상 역사를 바꾸는 주체였다. 다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같은 역사적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기성세대가 물려준 낡은 역사와 감정을 끊어야 한다. 국경과 언어를 넘고 함께 마음을 모아 동아시아의 평화를 만들어 나가는 주체로서 행동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는 “8월 14일 세계 위안부 기림일은 1991년 위안부 피해자로는 최초로 김학순 할머니가 위안부의 실상을 증언한 날이다. 또한 오늘은 한국과 일본, 재일조선인 학생들이 모여 서로의 역사문제를 공유하고 평화를 이야기하는 첫 발을 내딛은 역사적인 날”이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