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이연희·이우희 기자]수시모집 원서접수가 바짝 다가왔다. 모집인원 자체는 줄었으나, 그 중요성은 여전히 정시를 압도한다. 모집인원이 정시의 두 배에 달하는 것은 물론이고, 수능 성적을 중요하게 반영했던 ‘꼼수 전형’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당장 올해부터는 논술전형에서 일반적으로 운영했던 수능 우선선발이 폐지됐다. 지난해까지는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이 이름은 논술전형이지만 실제로는 수능 성적이 높으면 우선선발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 7월 발표한 ‘2015학년도 수시모집요강 주요사항’에 따르면 올해 수시모집 인원은 전체의 65.2%인 24만1448명으로, 전년도 25만1220명(66.2%)에 비해 9772명(2%) 감소했다. 반대로 정시 모집인원은 13만5774명으로 전년도보다 7480명 더 선발한다. 이는 2011학년도 처음으로 수시 모집인원이 전체의 60%를 넘어선 이후 계속된 상승곡선이 처음으로 꺾인 것이다.

수시 각 전형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높게 설정해 사실상 수능 성적이 당락을 결정짓는 불합리한 구조도 해소됐다. 한양대가 수시 모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폐지한 것을 필두로 상위권 대학 대부분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다소 완화한 것이다. 결국 ‘공부만’ 잘하는 학생이 수시에서 누리던 이점이 상당부분 희석되면서, 수시에 지원하는 수험생이라면 누구라도 학생부와 면접, 자기소개서 등에 대한 ‘수시 맞춤형’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수시에서 허수 지원이 줄어들면서 실질 경쟁률은 오를 것이라는 예상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수시모집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상황에서, 예년과 달리 지원해 놓고 수시를 포기하는 학생들이 속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논리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전년과 유사한 정도로 지원을 한다면 실질 경쟁률은 약간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다. 다만 전형 유형별로 지원율의 등락이 널뛰기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시모집에서는 간소화 흐름이 눈에 띈다. 교육부의 고교교육정상화 방침에 따라 대입전형, 특히 수시전형은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대학별고사(논술), 실기위주 총 4개 유형으로 구분해 표시하도록 의무화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학생이라면 올해 처음으로 시행해 상대적으로 해당 지역 학생들에 문을 넓힌 넓은 지역인재 특별전형도 유념해두면 좋다.

전형별로 모집 현황을 살펴보면, 학생부 위주 전형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에는 5만8879명(64.9%)을 학생부 전형으로 뽑았으나, 올해에는 14만4650명(84.4%)를 선발한다. 실기 위주 전형 역시 1만6748명(6.9%)로 지난해보다 3.8% 늘었다.

반면 논술 및 적성시험은 수험생들에게 ‘좁은 문’이다. 논술 위주 전형으로 선발하는 대학 수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선발 인원은 올해 1만5045명으로 117명(0.9%)이 줄었다. 적성평가를 실시하는 대학 수는 30개교에서 13개교로, 모집인원 역시 1만9420명에서 5835명으로 크게 줄어든 만큼 해당 시험에 자신 있는 학생들이 지원하는 것이 좋다.

올해부터는 수시에서 모든 대학의 원서접수 기간이 9월 6일에서 18일로 일괄 시행한다. 지난해에는 수시에서 원서접수가 9월과 수능 직후인 11월에 총 2번에 걸쳐 시행됐다. 수시모집 지원 횟수는 6회로 제한돼 있다. 다만 산업대인 청운대와 호원대, 전문대학, 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 DGIST), 경찰대학은 제한받지 않으니 눈여겨보도록 하자.

수시모집에서 두 개 이상 대학에 합격(최초, 충원)한 학생들은 모집 등록기간 내에 1개 대학에만 등록해야 하며, 정시모집 등 추가모집에는 지원할 수 없으니 유의해야 한다.

자기소개서 작성 시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교육부가 학생부종합전형에 한해 자기소개서 작성 시 외부 스펙을 기재하면 ‘0’점 처리한다는 강력한 규제책을 발표했기 때문. 하지만 학생을 선발해야할 대학부터 명확한 ‘0’점 처리 규정을 알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분위기다. 구체적인 스펙 명칭만 쓰지 않으면 얼마든지 스펙을 자랑할 수 있다는 ‘꼼수 전략’도 벌써부터 들려온다. 올해 입시는 정부의 자기소개서 스펙기재 금지 정책이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여부를 판가름할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