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조직 개편안 두고 법인 이사회와 직원 노조 갈등 심화

[한국대학신문 신나리 기자] 조선대가 연일 시끄럽다. 행정조직을 개편하는 대학 개혁안을 두고 이사회와 노조의 의견이 갈리며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직원 노조는 이사회가 민주적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개편안을 강행했다며 이사회를 비판하고 있다. 이사회는 노조에게 충분한 시간을 줬지만 대학본부와 직원 노조가 개편안에 대한 협의점을 찾지 못하고 조직개편을 차일피일 미뤘다고 주장한다.

지난 17일 직원노조는 교직원 투쟁 선포식을 열고 위원장 삭발식을 가졌다. 이사회의 일방적 의사결정에 투쟁을 선포한 것이다. 최병철 노조위원장은 이날의 투쟁이 법인 인사회의 대학 자율권 침해와 경영권 개입에 항의하는 것임을 분명히 했다.

최 위원장은 “대학 구조조정에 대해 대학본부와 노조는 협상을 진행 중이었다. 대학 집행부와 노조 대표가 만나 구성원 공청회 등 민주적 절차를 계획했는데, 이사회가 이를 무시했다”라며 “법인이 현재의 조선대 재정 위기를 대학의 책임으로만 전가하며 대학 경영권을 장악하려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직원노조는 18일 전교직원이 연가투쟁을 벌였다. 23일과 24일에도 이어진다. 이후에도 투쟁 수위를 높여 이사회의 개편안을 전면 취소시키겠다는 입장이다.

행정을 장악하려 한다는 직원 노조의 비판에 법인 이사회는  조선대의 재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행정구조의 효율화를 이루자는 것일 뿐, 대학 경영권 장악은 억측이라고 선을 그었다.

법인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직원 노조와 대학본부가 구조개혁을 위한 TF 팀을 만들었는데도, 아직도 행정조직 개편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 대학 적립금 900억 원을 내년부터 써야 하는 상황에서 아무 것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노조와 대학본부를 마냥 지켜볼 수 없었다”고 행정구조개편안을 강행한 이유를 밝혔다.

구성원 공청회와 교무위원회 등 조직개편에 대한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는 지적에는 사실상 조직개편을 모르는 내부 구성원은 없었다는 주장이다. 김창훈 조선대 개방이사(전 광주교차로 대표이사)는 “올해 4월 직원노조와 대학본부가 기초 개편안을 가져왔는데, 논의는 그 전부터 있었을 것 아니냐. 조직 개편안에 대해 모르는 구성원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행정조직 개편은 교직원을 줄이거나 교직원 급여를 축소하자는 것이 아니다. 조직 효율화를 위해 인력관리본부를 신설하자는 것“이라며 ”기존의 총무처, 교무처 등 나눠서 인사를 관리하는 동안 허술하게 빠지는 돈이 너무 많았다. 총장 직속으로 인력관리본부를 두어 인사팀을 하나로 통합하자는 것이 이번 개편의 골자인데, 노조는 이것을 두고 이사회가 행정조직을 장악하려 한다는 등 악의적 비난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사회가 지난 4일 의결한 행정조직개편안은 현재의 1실 7처 1본부 체제인 대학본부 행정조직을 1실 5처 1본부로 축소한다는 것을 뼈대로 한다. 이에 따라 교무처와 연구처가 교무연구처로, 총무처와 시설관리처는 총무관리처로, 학생처와 취업지원본부는 취업학생처로 통폐합된다. 교직원 인사를 전담하는 인력관리본부가 신설된다.

또 의대·공대·대학원을 제외한 모든 단과대학의 부학장 제도가 폐지되고 성격이 유사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의 교학팀이 합쳐진다.

이사회와 직원노조 모두 조선대가 재정 위기를 겪고 있다는 것과 이로 인한 행정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하고 있다. 다만 직원노조는 민주적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사회를 비판하고, 이사회는 직원노조가 그동안 전권을 휘두른 인사권에 집착해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있지 못하다며 직원 노조를 비난하며 맞서고 있다.

두 조직이 서로를 비판하는 동안 실질적인 피해를 보는 것은 학생들이다. 조선대는 별도의 수익사업을 하고 있지 않아 학교 운영의 많은 부분을 학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학생들은 매년 등록금 수입이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반대로 매년 등록금 수입에서 인건비 비율은 늘어나고 있다며 법인과 노조의 합의를 촉구하고 있다.

오현수 조선대 총학생회장은 “수익사업이 없는 조선대는 학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해 학교 운영을 해 학생들의 부담만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사회의 방법이든 노조의 방법이든 중요하지 않다. 구조개혁을 빨리 강행하는 것이 학생들의 피해를 줄이고 학교를 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