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신나리 기자] ‘4년제 지방대 취업률이 올해 처음으로 수도권 대학을 앞질렀다.’ 지난달 29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4년제 대학, 전문대학, 일반대학원 등 고등교육기관 531곳의 취업률을 대학정보사이트 ‘대학알리미’에 공개했다. 이를 보고 많은 언론은 ‘4년제 지방대 취업률 증가’에 초점을 맞췄다. 지방대 학생의 눈높이가 낮아지고 지역 기업과 연계한 것이 지방대 취업률을 끌어올리는데 주효했다는 분석이 더해졌다.

지역의 목소리는 달랐다. 사실상 지역 대학의 취업률 현황은 이전과 달라진 것이 없다는 것이다. 지역의 한 사립대 보직교수는 “산업기반이 약한 지역이 갑작스레 산업이 조성되지 않고서야 취업할 곳이 늘어나지 않는다. 취업률 통계에는 언제나 거품이 끼어있다”고 고백했다. 취업률 거품은 한 대학의 고백에 그치지 않는다. 모 지역대학의 총장은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교내 행정인턴을 모두 정리하고 졸업생으로 다시 뽑았다고 말했다. 유지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대학의 취업률 부풀리기는 꾸준히 제기됐던 문제고 매년 반복되는 문제다. 교육부의 감사를 통해 조작이 적발되어 교직원이 징계를 받고 대학의 정부지원 사업이 취소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도대체 왜, 취업률에 그토록 목을 매는 걸까.

이유는 하나다. 교육부가 취업률을 각종 재정 지원 사업이나 구조조정·대출제한 대학 지정 등에 주요 평가지표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2014년도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는 15%로 조정되기는 했지만, 대학평가에서 취업률 반영 비율이 20%를 차지해왔다. 손과 발 묶이는 교육부의 지원 제외 대상 대학으로 되느니 마른 수건을 짜내듯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할 수 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호소다.

대학 평가 시 취업률을 반영하는 것이 과연 타당하냐는 질문이 끊임없이 존재했지만, 교육부는 꿈쩍하지 않는다. 이를 두고 어느 대학교수는 ‘대학을 다루기에 가장 좋은 지표가 취업률이기 때문에 교육부가 취업률 반영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취업률은 경쟁의 결과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 대학을 서열화하고 통제하는 데 효과적인 지표라는 것이다. 세계 어느 곳에서도 취업률을 대학의 평가기준으로 삼는 경우는 없다고 지적한 교수도 있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대학 평가기준으로 취업률을 반드시 적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최고의 교육기관인 대학의 취업률 부풀리는 행위가 타당하는 것이 아니다.  불법이나 편법은 분명 대가를 치를 수 밖에 없고 그래야 한다. 그렇다고 취업률을 부풀리는 대학에만 돌을 던질 수 있는 일일까. 생각해볼 일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