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클러스터 중심 민간 주도, 유럽-강력한 지원, 이스라엘-자체 네트워크 구축

[한국대학신문 이연희 기자]최근 창조경제 모델로 떠오르고 있는 미국·캐나다 등 북미를 비롯해 스위스, 스웨덴, 핀란드 등 유럽 국가, 그리고 이스라엘은 모두 산학협력 강국으로 통한다.

세계경제포럼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보고서(WEF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중 혁신 부문을 살펴보면 이 국가들이 각 지표의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개 20위권에 속해있다. 올해 R&D 부문 산학협력 지표 랭킹에서는 스위스가 1위를 차지했으며 핀란드, 미국, 이스라엘, 스웨덴이 10위권에 들었다. 우리나라는 26위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미국은 2008년 글로벌경제위기를 IT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를 통해 극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탠포드대와 UC버클리대 등 대학의 기술과 인력을 중심으로 R&D와 기술이전, 창업까지 장려한 실리콘밸리는 그 중추라 할 수 있다. 미국 연방정부와 주(州) 정부 역시 대학교수와 연구자, 졸업생 창업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고, 대학 내에 국내외로 유명한 기업을 직접 유치해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일찍이 산학협력 과정에서 파생된 특허권을 각 연구기관이 소유할 수 있도록 특허·상표법을 개정해 R&D 기술이전을 촉진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스라엘은 산학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국가 자체가 ‘실리콘밸리’라고 불릴 정도로 주목받고 있다. 이스라엘에서 신기술을 중심으로 창업을 활성화 할 수 있었던 성공요인은 △정부가 전폭 지원하는 창업 기업육성 시스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벤처자본 ‘요즈마펀드’ △창업을 장려하는 국가분위기 △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등 연구부터 수익 창출까지 촉진시키는 선순환구조를 갖췄다는 점이다.

유럽의 산학협력프로그램은 대개 정부가 주도하는 경향이 있다. 스웨덴의 경우 정부연구개발비의 85% 이상을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에 지원하면서 대학과 산업체간 긴밀한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중앙집중형 산학협력 정책을 짰지만 최근에는 지자체에서 주도적으로 산학협력 방향을 설정하고 주도해야 한다는 여론이 나오면서 변하는 모양새다.

인력양성형 산학협력프로그램의 롤모델로는 60년 가까운 역사와 노하우를 갖춘 캐나다 워털루대가 주로 거론된다. Co-op(Co-operative education) 프로그램의 시초로 불리는 캐나다 워털루대의 경우 산학협력중심대학으로서 캐나다 대학교육의 모델로 자리 잡는 모양새다. 현재 캐나다의 모든 대학교는 Co-op 프로그램이 활성화 돼 있어, 재학 중 1년간 유급 인턴십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듯 북미 대학들은 각 대학의 특성에 따라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태동시킨 만큼 목표와 지향점도 우리와는 차이를 보인다. 국내 산학협력의 경우 정부가 주도하는 하향식(Top-Down) 구조를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학협력으로 기술사업화와 취-창업을 장려해 국가경제 활성화로 이어가려는 정책목표 하에 추진되는 만큼, 대학과 기업이 정책 틀에 몸을 끼워 넣는 모양새가 되기 쉽다. 반면 북미 국가는 대학과 기업이 주도하고 연방정부와 주 정부가 세제혜택과 토지공여 등으로 지원하는 상향식(Bottom-up) 구조로 진행된다.

북미 대학들 역시 산학협력을 통해 연구자와 기업이 서로 윈윈하는 협력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이긴 하지만, 이들 대학은 그보다 앞선 가치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바로 기술을 제품으로 발전시켜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는 ‘공공선’이다. 국가보다는 각 대학의 기술과 인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업을 세우면서 대학의 혁신과 평판도를 높여 각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것도 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