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병동·전문의·의료설비 등 운영 부실

[한국대학신문 이재 기자]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배재정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비례)은 23일 국정감사에서 6개 국가지정 국립대 병원의 에볼라 바이러스 의료 시설이 턱없이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배 의원에 따르면 서울대와 경상대, 충남대, 전북대, 전남대, 제주대의 6개 대학병원은 에볼라 바이러스 등 호흡기 전염병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병실이 보고된 바와 다르거나 허술했다.

서울대 병원의 경우 호흡기 전염병 환자를 격리수용하는 음압격리실 4실(6병상)과 일반격리실 4실(19병상)을 구축했다고 보고했으나 실제로는 2실(4병상)만 운영이 가능했다. 서울대 병원 측은 기준에 따라 완전한 격리병동 체제를 구축할 경우 기존 병상을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게 된다고 밝혔다.

격리시설의 경우 의료진의 안전과 감염관리를 위해 격리구역 안에 별도의 실험실과 의료폐기물 보관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병원은 이 같은 완전한 격리병동 체제 운영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배 의원은 “2009년 약 12억원의 국비지원을 받아 26병상을 설치했다는 병원도 에볼라가 실제 발생할 경우 시설부족으로 인해 사실상 단 한 명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의 답변서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격리병동의 운영 수준도 낮았다. 제주대 병원은 격리병상을 현재 일반 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대 병원 측은 “상황이 발생하면 일반 환자를 옮기고 격리병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격리환자가 발생할 경우 병원 측은 출입구를 봉쇄하고 전용 엘리베이터와 전담 요원을 운용해 격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반 병실과 독립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100% 격리는 불가능하다.

에볼라에 대한 의료장비와 전문의 수도 부족했다. 격리 시 필수 장비인 안면보호대의 경우 전북대는 100개를 구비하고 있었으나 전남대와 제주대 병원은 아예 없었다. 전문의도 서울대만 6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른 대학병원은 2~3명에 불과해 상황 발생 시 전문의 부족에 직면할 우려가 컸다.

배 의원은 “에볼라 감염자의 다수는 의료진에서 발생했다. 지금의 준비 상태라면 에볼라 환자가 대규모 발생하면 대한민국은 침몰하고 만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