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대학 대비 교육환경 개선, 교육성과 향상 폭 커

[한국대학신문 신나리·이현진 기자] “인증을 받은 대학은 전임교수, 교지, 교사시설 등의 확보율, 취업률, 결산회계 현황 등에서 인증을 받지 않은 대학보다 월등히 앞서 있다. 이 같은 통계는 인증을 준비하며 자연스럽게 경쟁력이 제고되는 선순환 효과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지난달 14일 한국경영교육인증원(경인원) 경영교육혁신 심포지엄이 대전에서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은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경영학 교육 혁신을 위해 진행되고 있는 여러 프로그램과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열렸다. (출처:경인원)

한국경영교육인증원(경인원) 경영교육혁신 심포지엄이 지난달 14일 대전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은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경영학 교육 혁신을 위해 진행되고 있는 여러 프로그램과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남신 한국외대 경영대학 교수가 인증대학과 비인증대학의 현황과 주요지표를 비교·분석한 자료를 살펴보면, 경인원의 인증제도는 한국대학경영교육의 질적 향상에 원동력으로 작용해 대학 교육의 질적 향상은 물론이고 학습 인프라 구축과 학생 취업률 제고까지 이끌었다.

■ 인증받은 대학 … 취업률 2배로 '껑충' = 지난 2005년 경인원이 설립된 이래 2008년부터 2014년까지 7년간 인증을 받은 대학은 모두 31곳이다. 조 교수가 각 대학이 제출한 자체평가보고서와 대학정보 공시자료를 통해 분석한 바에 따르면 경인원으로부터 인증을 받은 대학, 특히 통합 인증 대학의 경우 거의 모든 기준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인증대학과의 비교를 위한 비인증대학은 한국경제신문에서 선정해 발표하는 전국 경영대학 부문별 순위에 이름을 올린 대학 중 인증대학을 제외한 대학들과 인증을 준비 중인 대학들 일부다.

눈에 띄는 것은 학교의 투자다. 인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교육에 대한 투자도 증가하게 된 것이다. 전임교원 교내 1인당 연구비는 2배까지 차이가 났다. 비인증 대학은 373만 3080원에 그쳤지만 학부 인증 대학은 703만 4510원, 통합 인증 대학은 872만 7600원을 연구비로 투자했다. 반면 전임·비전임 교수의 강의부담은 비인증 대학이 8.5시간인데 반해 학부인증 대학은 6.59시간, 통합 인증 대학은 6.21시간으로 그만큼 교수가 강의 이외의 연구나 학생지도에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이 확보됐다.

정범구 충남대 교무처장은 “핵심지표는 교수”라며 “대학에서 연구·교육의 핵심인 교수의 수를 늘리고 전임교원의 연구비를 확충할 경우 우수학생 유입이나 학생 교육에서 도미노효과를 보게 되고 자연스럽게 인증을 받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에게 지급하는 장학금 역시 큰 차이를 보였다. 통합인증 대학의 경우 학생 1인에게 평균 연 157만 4833원의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비인증 대학은 3분의 1도 안 되는 44만 1646원에 그쳤다. 학부인증 대학은 이보다 조금 높은 48만 7977원이었다.

▲ 경인원의 인증을 받은 대학과 비 인증 대학, 통합 인증대학의 '강좌비율, 장학금, 취업률' 등 비교 수치

비인증 대학일수록 콩나물 강의실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비율도 높았다. 전체강좌 대비 과목당 수강인원이 80명을 넘는 강좌의 비율은 통합인증 대학은 8%였지만 비인증 대학의 경우 25.9%로 4과목 중 한 과목은 학생들이 꽉 들어찬 콩나물 강의실에서 교육이 이뤄졌다.

조교수는 “대학의 투자는 학생들의 높은 취업률로 고스란히 이어졌고 높아진 교육의 질을 통해 졸업생의 수준 역시 향상돼 높은 취업률로 연결됐다”며 “통합 인증 대학이 가장 높은 취업률인 67.8%를 기록했으며 학부인증대학도 58.6%를 보였다. 비인증 대학은 절반 수준인 38.1%로 통합인증 대학이 모든 기준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대학 특성따라 교육 프로그램 개발…매년 혁신대상 선정 = 인증 기준의 포인트는 특성화다. 교육기관이 특성에 맞는 고유의 미션이나 비전, 교육목표에 따른 마스터플랜을 개발하고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교수, 교육과정, 수업환경 등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한다는 가정 하에 교육기관 나름의 강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권장하고 있다.

경인원이 경영교육혁신사례 중 우수사례를 선정해 시상하는 경영교육혁신대상에 올해 전북대 경영학부가 선정됐다. 전북대는 이 대학만의 대표적인 학생 경력개발 프로그램인 ‘큰사람 프로젝트’를 경영학부에 맞게 적용해 운영하고 있는 점이 인정을 받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인증을 받은 건 2009년이지만 그보다 2~3년 전부터 인증평가를 준비하며 꾸렸던 인프라가 선순환구조를 만들어냈다.

전북대는 지난 2008년부터 경영교육인증센터를 설립해 경영학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노력해 왔다. 특히 2007년부터 준비해 2008년 도입한 ‘큰사람 프로젝트’가 전북대 학생들의 대학생활은 물론이고 취업률까지 끌어올렸다.

‘큰사람 프로젝트’는 입학부터 졸업까지 학생들이 학교를 다니면서 하는 경영활동을 포인트화해 적립하며 경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영역별로 △자아발견 △리더십 △글로벌역량 △실무역량 △취업활동 등 5개가 있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벨트제도’다. 학년별로 최소한의 활동을 규정한 것이다. △1학년 화이트벨트 △2학년 엘로우벨트 △3학년 블루벨트 △4학년 레드벨트로 구분해 전북대 핵심인재로 인정받은 학생에게는 최종적으로 블랙벨트를 부여한다.

우수학생에게 최대 매 학기 등록금 전액 면제 혜택이 주어지며 1년에 100명을 선발해 총 5000만 원을 지급하고 있다. 성적 향상의 폭이 큰 학생에게도 장학금을 제공하며 대학생활에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는 학생들의 취업 경쟁력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전북대가 졸업자 중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포인트를 분석한 결과 2011년 미취업자의 포인트평균은 74점에 그쳤지만, 취업자의 경우 126.9점을 나타냈다. 다음해인 2012년 취업률에서도 마찬가지. 미취업자의 평균 포인트는 127.3점, 취업자는 179.6점이었다. ‘큰사람 프로젝트’를 통해 높은 포인트를 쌓은 학생일수록 취업 확률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 경영교육센터 설치한 대학 성과도 ‘쑥쑥’ = 경인원의 인증을 받은 대학을 위주로 경영학 교육 인증을 구체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영인증센터’ 설립이 붐을 타고 있다. 이들 센터는 경영학과 관련한  교과목을 추가 개설하는 등의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서강 매크로 경영센터(이하 서강 매크로)는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 기업의 역할 등에 대한 통찰력을 갖추기 위해 경영학과 관련한 특성화 교과목 개발에 열을 올리는 중이다.

서강 매크로는 "사회적 이슈에 대한 논의, 창업을 둘러싼 법제도, 금융환경의 이해, 기업윤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을 주제로 한 특성화 교과목을 개발해 학년별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대학의 경영교육센터의 역할은 취업 지원부터 학생활동 지원, 비교과 활동 지원까지 다양한 범위를 포괄하고 있다. 서강 매크로의 경우 비교과 활동으로 여름방학 동안 글로벌 기업의 국외지사에 학생을 파견해 글로벌 기업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현장경험을 학습하는 ‘글로벌 인턴십 프런티어 팀 프로젝트(Global Internship Frontier Team-project, GIFT)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명지대 역시 경영교육혁신센터를 설치했다. 지난 4월 중국 천진에서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Global Leadership Program)' 설명회를 열었다. 글로벌 기업탐방과 연구를 통해 글로벌 경영전략 마인드와 동기부여를 고취하는 경영대학 단독 행사다. 이어 내달 베트남 호치민에서도 이 행사를 열 예정이다.

경영학 이론을 현실에 접목해 경영교육센터를 운영하는 곳도 있다. 상명대 경영교육센터는 경영학과 소속 교수 18명 전원이 소동아리를 운영한다. 상명대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마케팅 컨설팅을 하는 협동조합을 만들기도 했다.

상명대는 “경영교육센터 설치를 통해 교수 연구와 학생 지도를 한데 묶어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경영학과의 교수 1인당 국제 논문은 0.35편으로 전국 경영학과 90곳 중 1위”라고 강조했다.

인증원은 인증을 추진하는 경영대가 꾸준히 늘어난다면 궁극적으로 국내 경영 교육의 질도 함께 향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인증을 받은 대학이 인증활용 부분에 기대하는 효과는 더 많다.

손태원 경인원 원장은 “졸업생을 고용하는 기업이나 기관들이 인증받은 학교의 졸업생을 우대해주고 고등학교 졸업생과 학부모들이 대학을 선택하는 데 있어 인증을 받은 대학들을 선호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학문 분야별 인증을 받은 대학을 우대해야한다는 고등교육법에 따라 정부가 인증을 받은 대학들에 행·재정 지원 등의 대우를 강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