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국(본지 논설위원/경희사이버대 교수)

MOOC가 이제 교육부 정책에도 들어와 견고했던 기존 대학 질서를 무너뜨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우리는 미국 발 무크에 대해 환상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지 따져봄직하다.엄청난 수업료 때문에 접근 할 수 없었던 미국 명문대학의 강의를 유튜브나, TED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무료로 공개한다는 MOOC의 초기(1.0) 의도는 매우 혁신적이고 공익적이었다. 무크 2.0은 교세라,  에드엑스, 유다시티, 칸 아카데미 등으로 기능과 역할에 따라 분화 발전하는 단계다. 여기서부터 MOOC의 정체가 조금씩 드러난다. 선풍적 인기에 따른 서버와 콘텐츠 탐재를 위한 엄청난 운영비를 조달하기 위해 수료증, 자격증 발급, 기부금 요구는 물론이고 컨소시엄 대학들에게 상당한 금액의 회비를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여러 가지 비판적 시각도 많다.

교육부가 주도하는 K-MOOC가 대학을 좌지우지하려는 또다른 줄세우기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재정 지원’이란 이름으로 학문의 자율성을 침해해서는 안되며 ‘진리 추구’와 ‘학문적 자유’가 그 바탕이 되어야 한다. K-MOOC의 추진 방향이 제대로 설정된다면 국가 전체의 교육 수준을 올릴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기존 대학 교육시장을 더 빨리 붕괴시키고 오히려 미국 발 해외 MOOC에 예속 당할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다. 새로운 것, 해외의 것을 좋아하는 한국의 고등교육현장에서 해외 MOOC가 왜 선풍적인 인기를 끌지 못하는 것일까. 한국에서는 미국의 MOOC가 등장하기도 전에 그에 버금가는 교육 콘텐츠와 교육수요를 이미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고 있었다. 사이버대학은 2001년부터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대학수준의 콘텐츠와 자격증 그리고 학위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학습 생태계는 물론 언제 어디서든 접근 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그 수혜자들인 졸업생 누적이 2014년 기준으로 14만1244명이고, 현재 재학생 10만8262명이 그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렇다면 K-MOOC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음의 3가지를 눈여겨 봐야 한다. 운영기관의 공신력, 콘텐츠의 사회적 요구 적합성, 플랫폼의 편의성이다. 첫째 요소인 공신력 부분에서 교육부라는 국가 기관이 MOOC를 진행하는 것에는 그 누구도 의구심을 가질 수 없다. 그런데 그 파트너 내지 수행기관이 방송대이고 시설기관이 시공미디어라고 한다. 공신력에 크게 훼손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두 번째 요소인 콘텐츠를 살펴보면 기존 KERIS를 중심으로 한 1만여 개의 KOCW 콘텐츠와 21개 사이버대의 9708개(2014년)의 콘텐츠가 있음에도 사이버대학을 제외하고 별도로 일반대학 10개를 선별해 2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겠다고 한다. 1만개가 훨씬 넘는 기존의 콘텐츠를 배제하고 지금 온라인교육을 시작하는 일반 대학에서 기존 콘텐츠를 능가하는 ‘명품’을 생산해 낼지 의구심이 든다. 마지막으로 K-MOOC가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의 추진력이 되고 국가평생교육의 수단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K-MOOC 플랫폼의 명확한 역할 정립과 그에 부합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K-MOOC의 성공을 위해 교육부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이미 검증된 온라인 교육 노하우를 가진 사이버대를 파트너로 인정하고 방송대, 오프라인대학, 기업의 온라인교육을 두루 살펴 가장 적합한 기관에 그 역할 및 권한,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교육부는 수요자 맞춤형(계층별, 성별, 연령별, 목적별) 콘텐츠를 생산하게 제도적, 정책적 컨트롤 타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지난해 11월 27일 열린 ‘대한민국 미래교육’ 국회 포럼에서 교문위 설훈 위원장이 기조연설로 대학에 던진 메시지를 잘 되새겨야 한다. “변화하지 않고 현실에 안주하는 조직의 끝은 ‘삐삐’와 같은 운명이 될 것이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