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신나리 기자] 사이버대는 누적 졸업생만 14만 명이 넘는 14년 차 ‘대학’이다. 이름은 대학이지만 사이버대 관계자들은 대학다운 대접을 받아본 적이 없다고 넋두리다.  얼마 전 교육부가 발표한 ‘K-MOOC 추진방안’만 봐도 그렇다. 교육부는 올해 10개 대학을 선도대학으로 선정하며 20개 강좌를 시범 운영한다고 발표하며, 신청기준을 4년제 오프라인 대학으로 제한했다. 온라인 교육에 자부심이 있던 사이버대로서는 낙심할 수밖에 없는 기준이다. 사이버대의 한 관계자는 “사이버대만이 온라인 강의를 해야만 한다는 억지를 부리는 것이 아니다. 사업에 참여해 오프라인 대학들의 콘텐츠와 겨뤄볼 기회는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사이버대가 사활을 걸었던 ‘원대협 법’ 역시 진전이 보이지 않는다. 2010년 처음 발의된 후 국회종료로 인한 폐기와 2013년 다시 발의된 원대협 법은 2월 임시국회에서 언급조차 되지 못했다. 근거 법률이 생기면 정책개발과 연구, 정부의 지원도 생기지 않겠느냐는 사이버대의 희망은 이번 2월 임시국회에서도 물거품이 됐다.

사실 2월 임시국회는 기성회비 대체법안에 온통 관심이 쏠려 있었다. 법원심사소위원회를 비롯해 교문위 의원들은 원대협 법까지 살필 겨를이 없었다. 그렇다면 기성회비 대체 법안이 처리된 만큼 다음 임시국회에서는 원대협 법안이 주목을 받을 수 있을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원대협 법안에 관심을 두는 교문위 의원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자와 통화한 교문위 관계자 대부분은 원대협 법안의 통과 가능성을 묻자 ‘원대협 법안이 뭐냐’고 반문했다.

교육부의 소극적인 태도를 지적하는 이도 있다. 원대협 법 발의 당시에 참여한 한 의원은 “원대협 법의 처리가 자꾸 늦어지는 데는 교육부의 태도도 한 몫한다. 교육부에서도 사이버대나 법안에 딱히 관심을 두고 있지 않고 있다. 사이버대를 진정한 온라인 교육기관, 대학으로 이끌어 나가려면 교육부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변방취급을 받고 있다는 국내 사이버대의 한숨과는 별개로 외국에서는 온라인 교육에 관한 투자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은 이미 일본오픈온라인교육추진 협의회(JMOOC)의 공인을 받아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MOOC)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등장하기도 했다. 중국의 인터넷 교육시장의 성장 속도는 매년 20% 내외에 달한다. 지금은 한국이 사이버 교육체계에 앞서고 있지만 적절한 지원책이 없다면 머지않아 뒤처진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14년 차 사이버대의 노하우에 더 많은 관심이 절실히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