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회 헌정기념관 정책입안토론회

▲ 국회헌정기념관에서 23일 유기홍, 강은희 국회의원 주최로 '실용영어 정책입안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영어교사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해 실용영어의 올바른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차현아 기자)

[한국대학신문 차현아 기자] 박근혜정부의 실용영어교육 정책 폐기가 영어교육의 부실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 폐기 이후 말하기와 쓰기 영역 등 수능으로 실용적인 영어 실력 향상이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23일 열린 ‘실용영어 정책입안 토론회’에서는 NEAT폐기 후 실용영어를 위한 정책의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유기홍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과 강은희 새누리당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했다. 청년들의 해외취업을 강화하겠다는 박근혜정부의 방침과 달리 NEAT폐기 이후 수능 영어 중심의 독해와 듣기 영역 편향의 영어 교육으로 회귀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NEAT 운영예산안은 올해 정부 예산안에서 빠지면서 사실상 폐기됐다.

김정렬 한국교원대 교수(영어교육학)는 주제 발표를 통해 “실용영어교육의 핵심은 영어로 자기 의사와 정보를 말과 글로 전달할 줄 아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듣기와 읽기, 어휘 중심의 수능 시험 틀을 유지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참여정부와 이명박정부를 거쳐 실용영어교육 강화정책은 나름대로의 성과를 이뤄왔다는 평가다. NEAT와 더불어 영어회화 전문강사제도 도입, 취약계층 영어접근도 향상 등의 정책을 통해 영어 교육의 격차를 줄이고 실용영어 교육이 강화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2007년 한국 학생들의 토플 점수는 77점에 불과했으나 2013년 85점으로 크게 향상됐다. 영어를 제2공용어로 사용하는 인도와 필리핀 등을 제외하고 아시아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NEAT는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등 영어 교육의 네 가지 영역을 모두 평가하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다. 수능 영어시험이 읽기와 듣기 영역에만 국한돼 능력을 평가한다는 지적과 토플 등 해외시험 의존도가 높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2008년 이명박정부가 고안한 것이다.

김 교수는 “NEAT가 필요한 이유는 네 가지 영역을 제대로 가르칠 수 있기 때문”이라며 “NEAT가 아니라도 수능 영어시험에서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중고등학교 학교 현장에서 시험제도 보완과 연구 등이 꾸준히 이뤄져왔는데 갑작스럽게 NEAT가 폐지됐다”고 지적했다.

대학 교육에서도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영어 실력과 실제 학생들이 갖춘 영어 실력 간 큰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됐다. 이를 위해 영어토론이 가능할 정도로 중등교육 과정에서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이 도입돼야 한다는 것이다.

김효선 중앙대 교수(경영경제대학)는 “글로벌화되는 사회에 대비해 대학에서는 더 많은 영어강의를 개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대학생들이 대학의 교과과정을 영어로 배울 수 있을 정도로 준비돼있지 않다. 대학에서 요구하는 영어실력과 대학생들의 영어실력과의 괴리는 우리나라 초중고 영어교육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