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이우희 기자] 서울대 시흥캠퍼스가 집단소송에 휘말릴 위험에 직면했다는 본지 기사가 나가자 독자들의 반응이 빗발쳤다. 이들은 대부분 시흥 배곧신도시의 입주민들이었다.

사실 시흥캠퍼스와 관련한 집단소송 이야기는 오래전부터 파다했다. 지방선거 철이면 지지부진한 시흥캠퍼스를 두고 정치권의 치열한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최근에는 서울대의 실시협약 체결이 두 차례나 연기된 후 더 험악한 얘기도 공공연히 떠돌았다. 시흥캠퍼스는 결국 국내 최고대학이 개입한 '기획 부동산 사기'라는 비난부터, 교육적 필요보다는 개발이익을 앞세운 시대착오적 사업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가능한한 모든 관계자들을 만나 상황을 확인했지만 전재산에 빚까지 얻어 집을 산 배곧신도시 입주민들이 피해자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 말 한마디 기사 한 줄에도 신중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이번 건은 입주민 단체 관계자가 직접 집단소송을 언급해 기사화가 됐다.

지난달 비공개 자료인 마스터플랜을 확인했다. 뜬구름으로 6년을 끌어오던 시흥캠퍼스의 실체가 확연하게 드러났다. 시흥캠퍼스는 구상단계부터 지금까지 특정 학부나 학과의 이전을 고려하지 않았다. 병원 규모는 지속적으로 축소됐다. 서울대 재학생이 입주하는 RC(레지덴셜칼리지)에 대해 서울대는 전면 부인하고 있다. 향후 실시협약에서 서울대가 갑자기 학부를 이전하거나 RC를 추진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한다.

배곧신도시 입주민들이 처음 ‘서울대 캠퍼스’라는 말을 듣고 상상한 모습은 이처럼 초라한 캠퍼스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입주민들 사이엔 ‘시흥캠퍼스의 실체’를 드러내 놓고 말하기를 꺼리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누군가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면 경찰이 범인을 색출하듯이 추궁하는 과격한 양상도 나타난다.

자포자기인지도 모른다. 이미 실체는 알았으니 어찌됐든 서울대 간판을 내건 '무엇이든' 들어오는 것이 현실적 최선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법적 구속력이 있는 실시협약 체결만을 오매불망 기다리는 데는 그 같은 이유가 있다. 그런데, 실시협약이 체결된 이후에도 입주민들의 극단적 절제심은 유지될 수 있을까.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