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학 학생회 네트워크 발족, 13개大 연대 ‘예술대 문제’ 해결 나서

▲ 학과 통폐합 1순위에 놓인 예술대 학생들이 ‘예술대학 학생회 네트워크’를 27일 발족하고, 예술대학을 구조개혁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 산업을 구조 개혁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대학신문 신나리 기자] 학과 통폐합 1순위에 놓인 예술대학 학생들이 ‘예술대학 학생회 네트워크’(이하 예술대 네트워크)를 발족했다. 이들은 교육부가 말하는 ‘산업수요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예술대학을 구조개혁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 산업을 구조개혁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인력공급이 과한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산업의 낮은 처우와 직업의 불안정이 문제라는 것이다. 이들은 예술대학의 특수성을 무시한 대학 구조개혁평가지표는 예술대학을 정원감축의 타겟으로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2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예술대 학생들은 예술대 네트워크를 출범했다.

예술대 네트워크는 이 자리에서 대학 구조개혁평가가 예술계열의 학문적 특수성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대표적인 근거로 든 것은 ‘전임교원확보율’이다.

이들은 “예술계열은 시간강사에 대한 의존율이 일정 부분 이상 필요하다. 하지만 대학구조개혁평가 지표에서 가장 높은 배점 중 하나가 전임교원확보율이다. 결국 대학이 반강제적으로 전임교원확보율을 올려야하니 편법으로 전임교원을 확보하는 경우들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교사확보율 지표 역시 예체능계열이 지닌 특수성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예체능의 경우 학생 1인당 기준 면적이 다른 계열에 비해 큰데, 평가지표는 입학정원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예체능계는 구조조정의 타겟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예술대 학생들은 정원을 줄이고, 대학 수업을 산업과 연계하기 전에 예술계열을 졸업한 이들의 현실이 바뀌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고강도 저임금에 시달리는 예술계열 졸업자들의 현실이 근본 원인”이라며 “예술을 전공한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대로 사회에 안정적으로 진출하는 비율이 낮고, 예술인의 열정이 착취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이 개선되는 것이 우선"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이 예술대학이 아니라 문화예술 산업의 구조조정이 먼저 필요하다는 건 이 때문이다. 한국의 문화 예술컨텐츠산업의 규모가 매년 급성장하고 있지만, 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소득 분배는 양극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설명이다.

예술대 네트워크는 “사회에 필요한 예술인의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것이 아니다. 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소득 분배에 문제가 있다. 예술계 종사자들의 소득 분배가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예술계열 졸업자들이 줄어들어도 예술계 종사자들의 현실은 바뀌지 않는다”며 “많은 청년작가들이 작업 활동 전념에 하는 것을 힘들어 한다. 이 역시 졸업자들을 줄여야 해소되는 문제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현재 예술대 네트워크에 참여한 대학은 건국대 디자인대학·예술디자인대학, 경희대 미술대학, 국민대 예술대학, 단국대 예술대학, 동덕여대 예술대학, 부산대 예술대학, 서경대 예술대학, 서울대 미술대학, 세종대 예체능대학, 숙명여대 미술대학, 이화여대 조형대학, 전남대 예술대학, 홍익대 미술대학·조형대학 등 총 13개 대학의 15개 학생회다. 이들은 내달 19일 지난 1학기에 벌어진 예술대학 구조조정에 항의하는 플래쉬몹을 진행할 예정이다. 21일에는 전국 예술계열 대학생들이 모여 예술대학 의제를 말하는 문화제를 개최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