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일자리, 최저임금, 공적연금 등 청년문제 토론회

[한국대학신문 차현아 기자]  “공적연금은 노인세대 뿐만아니라 모든 세대를 위한 정책이기도 합니다. 세대갈등, 진보와 보수의 틀을 떠나 지속가능한 제도를 모두가 함께 논의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진보와 보수 진영 청년단체가 공동으로 주최한 토론회에서 청년들은 머리를 맞대고 일자리, 공적연금 등 사회이슈를 논했다.

27일 ‘장그래, 어떻게 살릴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는 청년좌파, 대한민국청년대학생연합, 청년이여는미래, 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 등 진보와 보수 진영 청년 활동가들이 날선 토론을 펼쳤다.

일자리 이슈에서 청년들의 입장은 크게 갈렸다. 김동근 대한민국청년대학생연합 대표는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과보호 받고 있는 일부 대기업의 정규직을 줄이고 고용유연화를 꾀해야 한다. 저성장기조에 맞춰 기업들이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환경을 통해 일자리를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한민호 다준다연구소 청년정책실장은 “정규직이 우리나라에서 과보호받는다는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더 높은 임금을 받는 것은 맞다. 그러나 정규직이 과보호된다며 그들의 임금을 깎아서 비정규직과의 차이를 좁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외국에서는 오히려 비정규직의 임금이 정규직보다 높게 책정된다. 결국 비정규직의 임금을 올리는 ‘상향평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적연금에 대한 논의에서는 대체로 합의를 이뤘다. 특히 공적연금문제를 세대갈등의 이슈로 끌고 가서는 안 된다는 주장에는 양쪽 진영 모두 크게 공감했다.

문유진 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현재 노인빈곤율이 50%에 가까운 실정이다. 이는 노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들을 부양해야하는 청년들의 문제이기도 하다. 청년세대들도 공적연금 문제에서 함께 논의할 부분은 논의하고 정책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신보라 청년이여는미래 대표는 “공적연금 논란에서 중요한 것은 지속가능한가에 대한 논의다. 특히 부담이 미래 세대가 떠안는 구조로 가지 않도록 연대책임의 방법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