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여 개 전문대학 중 서비스 분야 신청이 대다수

▲ 유니테크 예비신청서.

[한국대학신문 양지원 기자]50여 곳의 전문대학이 지난 22일 유니테크(취업보장형 고교·전문대 통합교육 육성사업) 예비 신청서 사전 접수를 마쳤다. 수도권 5개 내외, 지방권 11개 내외 등 올해 선정될 16개 사업단 안에 들어가기 위한 경쟁률은 3대 1 정도로 예상된다.

당초 기반기술, 정보통신, 유망서비스가 선정분야였지만 교육부는 지난 4일 유니테크 설명회에서 서비스를 제외한 기반기술, 정보통신 분야에 주력해 신청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접수된 신청서에는 유망서비스 분야가 대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단 구성은 ∆단일 특성화고(30명)-전문대학(30명)-단일 기업(30명) ∆단일 특성화고(30명)-전문대학(30명)-복수 기업 ∆복수 특성화고(각 25명)-전문대학(50명)-단일 기업(50명) ∆복수 특성화고(각 25명)-전문대학(50명)-복수 기업 등으로 제시돼 있다. 50여 개교 접수 결과 대기업 한 곳보다는 대기업·협력 기업 2군데 등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한 대학들이 많았다.

사업을 희망하는 전문대학은 특성화고와 기업을 모두 발굴해 스스로 사업단을 꾸려야 함에 따라 예비 신청을 완료한 전문대학들은 “준비가 결코 수월하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지방에 위치한 전문대학들은 특성화고 선별에, 수도권은 기업 선정에 골머리를 앓았다.

지방의 A 전문대학 유니테크단장은 “사업단에 묶을 기업은 있는데 특성화고가 주변에 없어 1시간 30분가량의 타 지역에서 찾았다”면서 “사업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해, 아쉽지만 결국 유니테크 신청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고 털어놨다.

선정 사업단 수가 적기 때문에 사업을 원하는 전문대학 간 경쟁 또한 치열했다. 신청 당시 기업 법인 유무를 두고 개별 대학들끼리 미묘한 경쟁 심리를 보이기도 했다.

대기업 법인을 둔 수도권 B 전문대학 단장은 “법인이라 해서 무조건적으로 설득이 되는 것은 아니기에 (법인 유무가)특별히 영향을 끼쳤다고는 볼 수 없다”면서 “기업도 문제지만 특성화고 선정이 쉽지 않았다. 비교적 학력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많아 유니테크와 비슷한 사업인 연계 교육의 전철을 밟지 않을까 우려가 된다”고 토로했다.

C 전문대학 유니테크사업단장은 “기업 법인이 실제로 학생들을 데려가 준다고 한다면 국가에서 이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취지에 맞지 않나. 그런 대학들이 신청을 많이 해야 기업 투자도 늘고 양질의 사업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신청 대학들은 7월 13일까지 사업 계획서를 제출해 본 접수를 완료해야 하며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는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평가를 진행, 16개 사업단이 최종 선정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