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후속세대 양성·융복합 학문 인문대학 역량강화 사업 관심

[한국대학신문 이연희 기자]이달 말 산업수요 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PRIME)사업과 함께 발표 예정인 인문학 진흥종합방안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달 25일 교육부는 ‘산업수요 중심 고등교육 인재양성 방안’ 시안에서 인문학 진흥 종합방안의 개요를 설명하긴 했지만, 이마저도 프라임 사업에 비해 구체화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에 따르면 인문학 진흥 종합방안에는 신규 공모사업인 ‘인문대학 역량강화 사업’과 함께 기존사업인 학술연구자 지원사업 인문사회 패널, 그 중에서도 인문학 분야의 박사후과정(Post-doc)에 대한 지원 확대 예산이 포함돼 있다.

총 예산 규모에 대해서는 재정당국인 기재부와 협의 중이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4월 방송 시사프로그램에서 ‘연 2000억원’으로 공언한 만큼 무리 없이 확정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대학들의 관심은 전국 108개 인문대학들이 지원할 수 있는 ‘인문대학 역량강화 사업’이다. 선정대학 수나 한 대학 당 사업비도 미정이지만, 정원조정이 쉽지 않은 국공립대들은 프라임 사업에서 불리한 만큼 눈여겨보며 저울질 하는 모습이다.

인문대학 역량강화 사업은 ‘학문후속세대 양성 트랙’과 ‘진로 역량 강화 트랙’으로 나뉜다. 학문후속세대 양성 트랙에서 선정된 학과는 입학정원이 동결돼 구조조정의 칼날을 피해갈 수 있게 된다. 해당 학과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동 대학원으로 진학해 인문학자의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장학금을 대폭 지원할 예정이다. 학·석사 통합과정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교육부 관계자는 “해당 학과의 대학원 진학률이나 박사과정 졸업 후 진로, 전임교원 수 등을 위주로 해당 학과의 경쟁력을 평가해 선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진로 역량 강화 트랙은 산업 수요가 있는 융복합 학과로의 통폐합을 유도하게 된다. 특히 유럽, 남미, 중동, 아프리카, ASEAN 등 각 지역에 대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글로벌 지역학’이 주력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이 초점이기 때문에 어문학 계열과 역사학 등 인문대학뿐 아니라 경제학, 경영학 등 사회계열 학과도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융복합 학과가 물리적인 통폐합을 넘어설 수 있도록 연구소 설립 또는 취업이나 진로 면에서 경쟁력 있는 교육과정을 제시할 수 있을지가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트랙은 나뉘어 있지만 대학 수나 예산이 고정되지는 않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인문대학들이 두 개 트랙을 활용해 종합 발전계획을 제출한다면 이를 총괄 평가해 선정하는 형태”라고 말했다. 즉 학과에 따라 트랙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사업이 실제 대학의 인문학 진흥에 기여할 것인지를 두고 대학들은 의문을 표하고 있다. 함께 발표되는 프라임 사업에서는 산업수요가 적은 인문계열을 이공계열로 대폭 정원조정 하라고 유도하고 있고, 한 대학 당 지원받을 수 있는 예산도 최대 연 200억 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교육부에서는 국립대는 인문학 진흥 종합방안, 사립대는 프라임 사업에 각각 참여를 유도하고 있지만 국립대들의 생각은 다르다. 한 지역거점국립대의 보직교수는 “국립대가 인문계열을 보호해야 한다고 하지만 산업수요의 흐름이나 대학의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라며 “두 사업의 기본계획을 살펴본 뒤 로드맵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청지역 국립대 교수는 “학·석사 통합과정이 지금도 제대로 운영되지 않다는 것은 정설”이라며 “대학이 아닌 학생에게 직접 장학금을 지원하는 방식이 인문대학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지도 살펴봐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인문학의 보호가 아니라 오히려 축소를 가져온다는 비판도 있었다. 영남지역의 한 사립대 교수는 “인문학의 대안이 융복합 학문이라는 점은 동의한다”면서도 “이번 방안은 프라임 사업에 더해 인문학의 중심인 문·사·철 통폐합을 부추기는 방안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