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대학인 숭실대가 거액의 교비를 주식에 투자해 수십억원의 손실을 냈다는 본지 보도에 대해 대학 관계자들은 크게 우려하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대학도 엄연한 경영체의 하나다. 더구나 신자유주의의 팽배로 대학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졌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업의 논리를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당장 내년부터는 입학정원 보다 고교졸업생이 많아 대학들은 신입생 확보를 위해 사활을 걸어야 할 처지다. 학생들의 등록금 의존도가 높은 일부 지방 사립대들은 수년전부터 이미 정원 미달사태로 존립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숭실대의 교비 주식투자는 이러한 대학 재정환경의 변화에서 비롯됐다고 보여진다. “빠듯한 재정에서 학교발전을 위한 공격 경영이 필요했다”는 이 대학 관계자의 해명이 이를 대변하고 있다. 그러나 비영리법인인 대학이 일반 기업의 경영행태를 닮는 것은 위험천만이다. 학교발전은 커녕 재정 건전성을 해칠 가능성이 더 크다.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구조에서 주식투자는 아직까지 투기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기관을 비롯한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기업의 성장성 등을 감안한 장기적 투자 보다는 단기간의 ‘투기’에 치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가가 거의 전무한 대학이 ‘주식투자로 재정을 확충하겠다’는 발상은 ‘섶을 지고 불로 뛰어드는’ 것과 같다. 숭실대의 경우 수백억원의 교비를 주식에 투자하면서도 이를 윗선에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으며, 운용과정에서의 관리도 소홀했다는 이 대학의 자체 감사결과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대학 재정운용의 폐쇄성으로 파악이 쉽진 않지만 많은 수의 대학이 숭실대의 경우와 같이 교비를 주식 등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대학 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대학의 안정적 경영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 차제에 수백억원에서 많게는 수천억원의 이월적립금을 쌓아놓고 있는 일부 사립대의 재정운용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이런 면에서 설득력이 있다. 더구나 교비는 학생들의 등록금을 비롯해 재단전입금, 기부금과 각종 기금 등이 망라된 것으로 영속적 교육을 위해 쓰여야 할 돈이다. 비록 대학의 주식투자가 불법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목적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온다면 교육기관으로서의 권위는 땅에 떨어진다. 학생들로서는 더욱 치명적이다. ‘정부지원이 미약하고 인색한 기부문화에서 사립대의 존립을 누가 보장하는냐’는 항변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인 교육의 최소 기본이 흔들릴 수 있는 위험한 ‘기업식 돈놀이’를 상아탑이 따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정부의 재정지원 확충과 기업들에 대한 기부금 확대 요구는 대학이 원칙을 지켜나갈 때 당당해질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