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 21 사업은 교육부가 21세기 지식 기반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세계적 수준의 대학원 육성과 대학의 연구활동을 장려하고 지역대학을 특성화함으로써 지역산업 수요와 연계, 고등교육의 우수인력을 양성한다는 방침에서 마련한 야심찬 계획이다.

매년 2천억원씩 7년간 모두 1조 4천억원이 투입되는 이 계획은 시행 초기인 점에 비춰 아직 성과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이른 감이 없지 않지만 평가 결과 나타난 몇가지 지표에서 해당 대학의 분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평가 결과 주목되는 현상은 먼저 분야별로 사업성과에 따라 지원금을차등 지급한데서 찾을 수 있다.

과학기술분야의 경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주관의 화학·기계·재료·생물분야사업단이 누계로 당초보다 1억1천8백만원 많은60억5천3백만원을 받은데 비해 서울대 물리·의생명 분야는 오히려 6억9천9백만원 삭감됐다.

이는 경쟁유도와 사업성과 진작의 교육부 방침 때문이기도 하지만 1차년도 예산 1천9백84억원 중 약 4백50억원이 집중돼 당초부터 소수 대학 중심의 엘리트주의 양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서울대의 경우 삭감 이유가 연구비 공동 관리나 실적 부진이 원인이었다는 점을 놓고 본다면 이번 결과에 책임을 면키 어렵게 됐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그간 수도권 명문으로 불렸던 아주대 고려대 한양대 +등도 비슷한 이유로 지원금이 삭감돼 내 외부 구성원에게 자유롭지 못한 실정.

학문 교류 활성화와 공동 연구 차원에서 도입된 대학원 문호개방과 타교 출신 비율 확대 등의 제도개혁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서울대나 연세대의 경우 삭감 이유가 당초 약속한 제도 개혁의 미이행으로 나타나 학부는 학부대로 운영하면서 지원금을 독식하지 않느냐는 선정 당시의 비판 여론에 적절한 대답을 해야만 하게 됐다.

초기부터 지적된 학문간 불균형 발전 시비는 시행 과정 평가에서도 뚜렷한 양극화 현상을 보여 여전히 남는 문제다.

실제로 이번 평가 결과 정부의 자금 지원과 함께 대학이 자체적으로 마련키로 한 대응자금 확보 현황을 보면 과학기술 분야에만 1백3억원의 산업체 지원 자금이 몰린 반면 인문사회 분야에는 단 한 푼도 지원되지 않아 이같은 현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문제가 시행 초기이고 해당 대학들이 문제점에 대해 시정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히고 있어 BK 21 사업 성과는 당분간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