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양지원 기자]대학들이 가슴을 졸이며 기다리던 구조개혁평가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하위 등급 명단에 이름을 올린 몇몇 대학 총장들은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한다는 초강수를 뒀다. 개인에게든, 대학이든 모두 사활을 결정지을 수 있는 중대한 평가였다.

대부분의 전문대학들은 결과 자체에 대해서는 이견을 제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하위등급에 포함된 전문대학들은 낮은 점수의 원인을 찾아 문제를 인정하고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자체적인 역량을 끌어 올리는 데 주력하겠다는 등 상당히 긍정적인 분위기가 감지됐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의 전문대학들도 공식 발표가 있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형식적이었다는 지적에는 고개를 끄덕인다.

이들이 하나같이 가장 이해할 수 없다고 입을 모으는 건 바로 지난 8월 31일 최종 발표 전 5일간에 걸친 이의신청이다. 평가당국인 교육부에서는 일정기간 동안 이의신청을 받고 이에 대한 검토를 마친 후 발표한 것이라고 잘라말하고 있지만 대학들은 사전에 어떤 답변도 받지 못했다. 

모 전문대학 교수는 “이의신청에 대한 최소한의 피드백은 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대학의 생사를 결정하는 중요한 순간에 절박한 심정을 이렇듯 (평가당국이)‘나몰라라’ 하는 건 정말 안타깝다고 밖에 말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별도조치로 평가에서 제외된 한 대학 교수는 “교육부가 컨설팅이나 향후 조치에 관한 사안을 통보한다 했지만 예고된 기한이 지났는데도 아직 들은 바가 없다”며 “자체적인 회의를 통해 대학 운영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평가를 하는 주체는 그 평가가 가져올 파장이 얼마나 큰지를 안다면 평가를 받는 대상이 제기하는 문제들에 대해 일말의 의심도 남겨선 안됐다.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 치는 대학가의 현실을 외면해선 안됐다.

이의신청을 한 대학이 이의 신청한 것이 받아들여졌는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면 그 이유가 뭔지 결과적으로 등급이나 점수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했더라도 설명해줘야 할 것은 충분히 설명해줬어야 했다. 그것이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다소라도 더 높이는 길이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