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간 통·폐합 등 자구 노력도 필요

학생 정원 역전 시대를 맞아 정부는 전공영역별로 수요를 예측하고 대학 정원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제도 개혁이 단행돼야 하며, 대학도 M&A나 영역별 통·폐합 등 뼈를 깎는 구조 개혁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됐다. <관련 기사 10~11면> 특히 국립과 사립간 역할분담이 필요하며 외국과 공동 학위제를 시행하는 대학은 정부가 학생 1인당 1천만원 정도의 해외연수비를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본지가 창간 14주년을 맞아 ‘입학정원 역전시대, 대학의 살길은?’이란 주제로 마련한 특별 좌담에서 충남대 박광섭 학생지원처장은 “입학정원이 역전되는 시대를 맞아 정부는 우선 전공영역별 인적수요를 예측하고 대학정원의 탄력적 운영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며 “국립대학에서는 학문분야별로 최소 인력양성을 책임지고, 사립대학에서는 각 대학마다 경쟁력 있는 분야를 육성함으로써 나열식 대학 운영을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양대 배영찬 입학관리실장은 “과감한 구조 조정 등 대학 스스로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을 통해 독특하고 경쟁력 있는 학문 분야를 개발해야 한다”며 “이제는 대학간의 M&A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장기원 대학지원국장도 “입학정원 역전 시대를 맞아 지방대학의 기능별 통·페합도 발전을 위해 모색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라며 “그러나 이 문제는 여러 측면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입생 미충원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광주·전남지역 기획실(처)장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동신대 이석주 기획처장은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과감하게 경쟁력이 없는 학과를 중심으로 정원 감축을 단행해야 한다”며 “선발인원이 절대적으로 적은 현실에서 이제는 과감하게 그물을 걷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처장은 그러나 “외국과 공동학위제를 시행하는 대학에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며 “교육부가 학생 1인당 1천만원씩 해외 연수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강력하게 시행해 달라”고 주문했다. 신라대 이병화 총장은 “우리의 대학교육정책에서 가장 깊이 느끼는 것은 지나치게 시장중심으로 흐르는 것”이라며 “교육은 기본적으로 사회간접자본으로서 공공재를 생산하는 과정이므로 사립대학을 포함한 대학교육에 대해 정부의 지원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좌담에서 토론자들은 서울대의 지역할당제나 연세대의 기여입학제 등 대학가에서 논란이 회자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수도권 중심적 사고’ 또는 ‘시기 상조’라는 이유로 반대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관련기사 : 창간 14주년 특집 좌담 세부 내용]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